크라이슬러 F500e · BMW i3 이어 테슬라까지…삼성SDI, 전기차배터리 '제왕'의 꿈

입력 2013-08-22 17:23   수정 2013-08-23 01:09

파나소닉 쓰던 테슬라 '러브콜'
잘나가는 전기차 모두 삼성 배터리 장착하자…테슬라도 제품 테스트 요청



#1. 크라이슬러가 지난 6월 미 캘리포니아주에서 출시한 전기차(EV) ‘F500e’는 구매가 쉽지않다. 만드는 족족 팔려나가 차를 인도받으려면 대기해야 한다. 피아트의 베스트셀러 ‘친퀘첸토’를 기본으로 만들어 클래식하고 깔끔한 디자인을 갖춘데다 정부 지원금을 받으면 2만500달러에 살 수 있다.

#2. BMW는 지난달 29일 전기차 ‘i3’를 공개했다. 탄소섬유 차체에다 미래형 디자인으로 큰 관심을 모았다. 오는 11월 독일과 미국에서 시판에 들어가는 이 차는 전기차 시대를 앞당길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F500e와 i3, 이 두 전기차의 공통점은 뭘까. 바로 삼성SDI의 배터리를 장착하고 있다는 것이다.

삼성SDI가 성큼 다가온 전기차 시대 개막에 맞춰 발빠르게 달리고 있다. 전기차 배터리에 집중 투자해온 이 회사는 그동안 많은 투자에도 더딘 시장 성장으로 인한 매출 부진으로 어려움을 겪어왔다. 지난 1분기엔 4년 만에 적자를 내기도 했다. 그러나 하반기 들어 전기차 배터리 생산라인을 풀가동하며 반전을 꾀하고 있다.

○7년의 투자, 이제 결실을 볼 차례다

삼성SDI는 2008년부터 전기차 배터리에 대한 투자를 시작했다. 전기차 배터리는 차량 원가의 30~40%를 차지할 정도로 큰 잠재력을 갖춰서다. 여기에 중소형 배터리 시장에서 소니와 파나소닉 등을 제치고 1위가 된 기술력을 믿었다. 삼성그룹은 2010년 전기차 배터리 사업을 5대 신수종 사업으로 선정하고 본격 지원을 시작했다.

삼성SDI는 생소한 자동차 시장을 뚫기 위해 2008년 독일 보쉬와 합작했다. 합작은 순탄치 않았다. 보쉬가 잠재력이 큰 배터리 시장에 단독으로 뛰어들겠다는 뜻을 보이면서 양사는 지난해 결별했다. 모든 투자를 혼자 떠맡게된 삼성SDI는 올 1분기 4년만에 처음으로 영업적자를 냈다.

삼성SDI는 더 열심히 개발에 매달렸고 결국 전기차용 배터리를 만들어냈다. 크라이슬러의 ‘F500e’와 BMW의 ‘i3’에는 세계 최대의 용량의 60Ah(암페아)급 삼성SDI 배터리가 탑재됐다. 이 제품은 기존 30~40Ah급에 비해 같은 크기라도 더 많은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다. 배터리 크기를 줄이고, 한번 충전으로 긴 거리를 달릴 수 있다는 얘기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도 BMW, 폭스바겐을 찾아나서는 등 지원에 나섰다. 그 결과 올해 폭스바겐과도 공급 계약을 맺은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전기차 업체인 테슬라에 제품을 공급하기 위한 테스트도 진행중이다. 그동안 파나소닉 배터리를 써온 테슬라는 판매량이 늘자 삼성SDI 제품을 쓰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점차 개화하는 전기차 시장을 잡아라

전기차 시장은 올해 예상을 깨고 개화하기 시작했다. 상반기 미국에선 하이브리드 차량이 35만8000대가 팔려 전년 대비 18.4% 증가했고,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및 순수 전기차는 4만1447대가 판매돼 136% 늘었다.

당초 전기차는 △충전 인프라 부족 △가격 경쟁력 열세 △국제유가 안정화 등의 영향으로 성장속도가 둔화될 것으로 전망됐지만, 업체들이 차 값을 낮추고 연비를 끌어올리자 판매가 살아나고 있다.

테슬라는 1분기에만 4750대를 팔며 흑자전환한 데 이어 2분기에도 5150대를 판매했다. 2011년 출시됐던 닛산 리프는 값을 낮춰 판매량이 212% 증가했고, GM볼트도 차 값을 4000달러 내려 6월 판매량이 2698대로 67.9% 증가했다.

지금 시장의 관심은 BMW의 전기차 i3에 쏠리고 있다. 11월 시판에 들어가는 이 차는 전기차 시장을 획기적으로 키워놓을 차로 기대되고 있다. 폭스바겐, 르노, 아우디, 포르쉐 등도 잇따라 전기차 출시를 계획하고 있다.

통상 전기차 1대에 들어가는 배터리 용량과 가격은 노트북의 1000배 수준이다. 세계 자동차 판매의 1%(80만대)만 전기차가 차지한다고 가정해도 배터리 시장 규모가 100억달러에 달한다. 지난해 노트북과 스마트폰 등 IT 제품에 사용된 소형 배터리 시장 규모가 108억달러란 점을 감안하면 엄청난 폭발력이다.

증권업계는 삼성SDI의 차량 배터리 매출이 올해 2000억원 수준에서 빠르게 증가해 2015년 하반기부터는 흑자를 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소현철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BMW i3가 내년에 4만대 목표치를 달성하게 되면 삼성SDI의 매출은 2015년 1조원을 돌파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김현석 기자 realist@hankyung.com




▶[화제] 급등주 자동 검색기 '정식 버전' 드디어 배포 시작




女직원, 퇴근 후에…은밀한 이중생활 깜짝
'성상납 의혹' 맹승지, 황당하다더니 끝내…
강용석, 이혼 소송 중인 '유부녀' 만나더니
성폭행 당한 女, 횡설수설한 이유가…충격
밤마다 같이 자고 스킨십 즐기던 남매 결국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