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황태자는 월가의 로비 창구?

입력 2013-08-23 17:15   수정 2013-08-24 02:51

인맥 활용…계약 따내기위해
JP모건 등서 특별채용




“월가의 中황태자 채용은 관행?”

미국 투자은행 JP모건체이스가 중국 고위 관료의 자녀를 특별 채용했다는 의혹으로 논란을 빚고 있는 가운데 월가 대형은행 사이에서 이 같은 일은 크게 놀랄 일도 아니라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2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WSJ는 이미 10여년 전부터 월가 은행들이 중국 시장에 빠르게 진출, 대규모 계약을 따내기 위해 중국 고위 관료 자녀인 ‘황태자’들을 채용해 왔다고 지적했다.

장쩌민 전 중국 국가주석의 손자 앨빈 장은 한때 골드만삭스에서 일했다. 원자바오 전 총리의 딸 원루춘은 크레디트스위스에서,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장이었던 우방궈의 사위 윌슨 펑은 메릴린치에서 일했다. 메릴린치는 2006년 220억달러 규모였던 중국 공상은행(ICBC)의 기업공개(IPO) 계약을 따내기도 했다. 우방궈의 사위 덕이라는 얘기도 나왔다.

JP모건은 현재 중국 국영 광다그룹 탕솽닝 회장의 아들 탕샤오닝을 채용, 2011년 광다그룹 산하 광다은행의 상장 자문 계약 등을 따냈다는 의혹을 사고 있다. 탕 회장은 중국 규제당국인 은행업감독관리위원회 부주석을 지낸 금융권 거물이다. JP모건 홍콩사무소도 장수광 전 중국 철도부 부총공정사의 딸 장시시를 채용했고, 같은 시기 JP모건이 국영철도업체인 중국중철 상장 자문사로 선정돼 그 배경에 대해 조사받고 있다.

WSJ는 “중국에서 고위 관료 자녀들을 채용하지 않으면 고위층 사회에 접근조차 힘들기 때문에 월가 은행들이 중국 전현직 고위관료의 자녀를 채용하는 건 어쩔 수 없는 일이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최근 1~2년 새 중국의 IPO 붐이 사그라지면서 오히려 이 같은 채용 경향도 줄어들고 있는 추세라고 전했다.

중국 IPO시장은 올 상반기 7700만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 6억5200만달러에 비해 크게 위축됐다. 글로벌 IPO 순위도 2010년 1위에서 현재 6위로 뚝 떨어졌다. 월가의 ‘중국 황태자’ 채용 붐은 IPO 시장이 활황이던 2010년과 2011년 가장 활발했다. 중국의 IPO 규모는 2010년 상반기에만 17억달러에 달했다.

올해 알리바바 등 대기업 IPO가 예정돼 있긴 하지만 중국 기업의 지분 구조가 국영 기업 중심에서 사모펀드, 헤지펀드 등으로 다양해졌기 때문에 황태자들의 인맥이 크게 소용없어졌다고 WSJ는 분석했다.

미국의 반부패 규제 강화가 오히려 황태자 채용을 부추겼다는 지적도 있다. 미국 해외부정거래방지법(FCPA)은 기업들이 해외에서 제3자를 통한 뇌물 제공까지 규제하기 때문에 이 법을 피하기 위해 황태자들을 채용했다는 것이다.

김보라 기자 destinybr@hankyung.com




女직원, 퇴근 후에…은밀한 이중생활 깜짝
'성상납 의혹' 맹승지, 황당하다더니 끝내…
강용석, 이혼 소송 중인 '유부녀' 만나더니
성폭행 당한 女, 횡설수설한 이유가…충격
밤마다 같이 자고 스킨십 즐기던 남매 결국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