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조원 추석선물시장, 내수 불쏘시개 될까

입력 2013-08-27 17:08   수정 2013-08-28 03:11

임시 고용도 1만2000여명


민족 대명절 추석은 큰 보름달만큼이나 경제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올해는 불경기 속에서 맞는 추석이지만 소비 자체는 적잖은 수준이다.

유통업계는 추석 선물시장 규모를 2조원 안팎으로 추산하고 있다. 매출 기준 상위 3대 대형마트와 백화점, 편의점은 올해 8000억원어치의 추석 선물세트가 팔릴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롯데 현대 신세계 등 3대 백화점의 상품권 판매금액은 7000억원으로 예상된다. ‘선물세트’라는 이름을 달진 않았지만 옷 지갑 등도 일부 선물용으로 팔리고 홈쇼핑 온라인몰 전통시장 매출의 일부도 추석 선물용인 것을 감안하면 전체 시장 규모는 2조원을 넘을 것이라는 게 업계 추정이다.

고용 효과도 크다. 대형 유통업체들은 선물 배송과 상담 등을 위해 15~20일간 아르바이트 직원을 고용한다. 롯데백화점은 다음달 2일부터 18일까지 추석 선물세트 행사장에 근무할 직원 6500명을 모집하고 있다. 주요 백화점과 대형마트가 이번 추석에 채용하는 인원은 1만2000여명에 이를 전망이다.

설 세뱃돈만큼은 아니지만 어린이와 청소년들이 추석 때 만난 친척들에게서 받는 용돈도 소비 진작 효과를 일으킨다. 백화점과 대형마트에서는 추석 연휴가 지나고 나면 완구와 디지털기기 판매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추석 선물은 시대에 따라 조금씩 변해 왔다. 1960년대까지는 설탕과 라면이 주된 추석 선물이었다. 1970년대 고도 성장기를 거쳐 1980년대엔 넥타이 지갑 셔츠 등이 인기 상품으로 떠올랐다. 건강을 중시하는 풍조 속에 친환경 과일과 유기농 가공식품이 2000년대 들어 추석 선물로 인기를 끌었다. 백화점 상품권은 1994년부터 본격 발행되기 시작해 매년 10% 이상 판매가 증가하고 있다.

유승호 기자 usho@hankyung.com





▶[화제] 급등주 자동 검색기 '정식 버전' 드디어 배포 시작
▶[은행이자보다 3배 수익으로 알려진 호텔식 별장]


▶ 네이버 '라인의 기적'…日 모바일인구 절반이 사용
▶ 日 학자가 펴낸 '조선인 강제 징용사', "하루 17시간 노동에 구타…아소탄광은 지옥"
▶ "굴비 저리가"…추석 선물보따리 한우 차지
▶ 한류의 진화…자동차·비빔밥·라면 'K상품 잔치'
▶ '극락조화 38만원' 풀어야 스마트폰 싸게 산다?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