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hankyung.com/photo/201308/2013082731631_01.7783634.1.jpg)
이영덕 대성학력개발연구소장은 “수시 수능우선선발이 없어지고 최저학력기준이 완화되면 대학은 현재 70% 이상인 수시 비중을 지금보다 줄일 것”이라며 “수시와 정시 비율을 50 대 50 정도로 예상하고 입시전략을 짜는 것이 유리할 것”이라고 말했다. 오종운 이투스청솔 평가이사도 “종전과 마찬가지로 학생부와 논술이 강하면 수시, 수능에 강하면 정시에 초점을 맞춰 지망하는 대학을 골라야 한다”고 지적했다.
수시에서는 논술의 영향력이 커지고, 그에 따라 사교육 시장도 팽창할 것으로 전망된다. 임성호 하늘교육 대표이사는 “논술이 고교과정에서 쉽게 출제된다지만 여전히 상대평가이므로 논술의 영향력이 더 커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중위권 대학의 적성검사 폐지도 논술의 영향력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만기 이사는 “중위권 대학들은 적성고사 대신 경북대, 서울과기대, 부산대에서 실시하는 ‘약술형 논술’을 실시할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입시 전문가들은 학생부가 변별력이 떨어지니 만치 비중이 줄어들 것으로 내다봤다. 정시에서는 수능의 영향력이 절대적으로 커지고, 수능점수에 따라 대학별 학과별 서열화 현상이 심화할 것으로 전망됐다.
정태웅 기자 redael@hankyung.com
▶[화제] 급등주 자동 검색기 '정식 버전' 드디어 배포 시작
▶[은행이자보다 3배 수익으로 알려진 호텔식 별장]
박진영, 美서 '적자'나더니 99억을…충격
女배우, 알몸으로 '성인영화' 촬영하다 그만
류시원 아내에게 친형이 무섭게 내민 칼은…
MBC 앵커, 퇴사하더니 '30억 빚'에…깜짝
권상우 "강예빈은 다른 남자와…" 폭로하나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