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hankyung.com/photo/201308/2013082733301_AA.7783092.1.jpg)
김 전 위원장은 “무항산(無恒産)이면 무항심(無恒心)”이라며 “다음달 2일부터 율촌에서 고문 변호사로 일하기로 했다”고 27일 밝혔다. 이는 ‘생활이 안정되지 않으면 바른 마음을 견지하기 어렵다’는 뜻으로 맹자 왕혜왕편에 나오는 말이다.
김 전 위원장은 “맹자의 말 그대로 성인이나 도덕군자가 아니고 일반 백성의 한 사람이니 소득이 있는 직업을 가져야 한다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편의점에서 일할 당시 법조계와 인연이 멀어질 것으로 보는 시각도 일부 있었다는 지적에 “그렇게 계속 생활할 수 있으면 좋겠지만 저도 나름대로 할 일을 찾아야 한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1980년 전주지법 판사로 임용된 그는 서울고법 부장판사, 대법원 선임재판연구원과 수석재판연구관 등을 거쳐 2006년 대법관을 지냈다. 당시 검소한 생활로 ‘청백리’로 불리기도 했다. 이후 2011년 선관위원장을 역임하고 퇴임 후 로펌행을 고사하고 아내가 운영하는 편의점에서 일하며 지내 ‘편의점 대법관’으로 불리며 화제를 모은 바 있다.
정소람 기자 ram@hankyung.com
박진영, 美서 '적자'나더니 99억을…충격
女배우, 알몸으로 '성인영화' 촬영하다 그만
류시원 아내에게 친형이 무섭게 내민 칼은…
MBC 앵커, 퇴사하더니 '30억 빚'에…깜짝
권상우 "강예빈은 다른 남자와…" 폭로하나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