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 측 "진실규명 노력을"
타이완에서 체포된 김원홍 전 SK해운 고문의 국내 송환이 늦어지면서 SK그룹이 전전긍긍하고 있다. 최태원 SK그룹 회장의 횡령 혐의에 대한 변론기일이 곧 끝날 것으로 보여 김 고문을 법정에 증인으로 세우지 못할 가능성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1일 법조계에 따르면 SK그룹은 김 전 고문에 대한 증인심문이 무산돼 최 회장이 항소심에서도 실형을 선고받을 가능성에 대해 크게 우려하고 있다. SK그룹은 최 회장에 대한 항소심이 진행되는 동안 “최 회장도 김 전 고문에게 사기를 당한 피해자”라고 주장해 왔으며 김 고문이 지난 7월 체포된 뒤에는 재판부에 “김 전 고문을 증인으로 세워달라”고 신청했다. 이 신청은 재판부가 지난달 변론을 재개하며 기각했다.
특히 SK그룹은 김씨가 늦어도 이달 말께 국내 송환될 수 있다는 전망과 관련, 애를 태우는 분위기다. 재판부가 최 회장에 대한 변론을 재개하기 전인 이달 13일을 선고기일로 잡고 있기 때문이다. 타이완 법에 따르면 김 전 고문처럼 이민법 위반 혐의로 체포됐을 경우 최장 2개월간 구금되기 때문에 7월31일 체포된 김원홍 씨는 늦어도 이달 말에야 한국 송환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졌다.
재판부는 “김 전 고문이 당장 내일 귀국한다 해도 증인으로 체택할 계획은 없다”고 밝힌 바 있어 김 전 고문이 조기에 송환돼도 법정에 세우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그러나 최 회장에 대한 변론 재개도 당초 재판부가 안 한다고 했다가 나중에 한다고 바꿨기 때문에 증인신청에 대한 기각을 번복할 가능성이 없지는 않다.
SK그룹 관계자는 “단순히 선처를 바라는 것이 아니라 실체적 진실 규명을 위해 쓸 수 있는 마지막 절차를 취해달라는 것”이라며 “최 회장의 변호권을 보장하는 차원에서 김 전 고문에 대한 증인심문이 이뤄졌으면 한다”고 말했다.
한편 최 회장은 지난 1월 1심에서 징역 4년을 선고받고 법정 구속됐다. 1일 현재 수감생활이 만 7개월을 넘긴 상태다. 국내 대기업 회장의 수감기간 가운데 최장이다.
양병훈 기자 hun@hankyung.com
▶[화제] 급등주 자동 검색기 '정식 버전' 드디어 배포 시작
▶[은행이자보다 3배 수익으로 알려진 호텔식 별장]
▶한경 슈퍼개미 "소문이 많이 나지 않았으면...최대한 오랫동안 혼자 쓰고 싶거든요"
'女대생 청부살해' 사모님, 알고보니 남편과…
김정은 옛 애인, '성관계' 촬영했다가 그만
'女고생 성폭행' 차승원 아들, 법정 나오자마자
리쌍 '막창집'을 강제로…"어떻게 이런 일이"
박진영, 美서 '적자'나더니 99억을…충격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