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이상 오디오 회사 아니다"
![](http://www.hankyung.com/photo/201309/2013090475401_AA.7812845.1.jpg)
부활의 원동력은 그러나 ‘전통적인 오디오 제품’이 아니다. 통신과 디스플레이 솔루션 시장을 적극 공략한 덕분이다. 최근에는 TV 시장에까지 진출, 종합 전자기업으로의 변신을 시도하고 있다.
◆사업 다각화로 재기 성공
![](http://www.hankyung.com/photo/201309/2013090475401_AA.7813485.1.jpg)
한때 2500억원에 달했던 매출도 2007년 1300억원대로 떨어졌다. 반토막이 난 셈이다. 인켈은 위기에서 벗어나기 위해 ‘사업 다각화’를 선택했다. 인터넷전화기와 휴대폰을 연결해 쓰는 도킹스피커 등을 개발했다. 또 산업용 모니터를 만드는 디스플레이 솔루션 시장에도 뛰어들어 은행의 현금자동입출금기(ATM)나 공공시설에 설치된 키오스크(터치스크린 방식의 정보검색 장치) 설비를 공급했다. 2009년 흑자전환에 성공한 데 이어 2010년 사상 최고 매출(2801억원)을 기록했다.
2011년 취임한 김상중 인켈 사장은 “인켈은 더 이상 오디오 전문업체가 아니다”는 모토를 들고나왔다. 이 회사에 입사한 이후 해외영업을 주로 해온 그는 “세계 시장의 흐름에 맞춰 변화해야 살아남을 수 있다”며 “신사업 진출은 성장에 필수”라고 직원들에게 강조했다. 김 사장은 80%인 오디오사업 비중(지난해)을 2~3년 내에 50% 이하로 떨어뜨릴 계획이다.
◆TV시장에도 도전
인켈은 최근 TV 시장에도 도전장을 내밀었다. 인켈은 지난 3일 40인치(SD40AW)와 32인치(SD32SW) 두 가지 모델의 LED TV를 선보였다. 카지노 모니터와 게임용 모니터를 만들면서 쌓은 3D(입체)기술과 영상 구현 기술을 활용한 것이다. 인켈이 갖고 있는 오디오 설계 기술을 TV에 적용해 성능을 개선했다는 것이 회사 측 설명이다.
김병수 인켈 홍보팀 과장은 “디스플레이 솔루션 사업을 진행하면서 축적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TV시장에 진출하게 됐다”며 “대기업이 주도하고 있는 시장이지만 뛰어난 오디오 성능을 갖춘 TV를 내세워 틈새시장을 겨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인켈은 내년 말 ‘홈네트워크 허브’도 내놓을 계획이다. 홈네트워크 허브는 중앙 셋톱박스를 통해 TV, 냉장고, 오디오 등 집안에 있는 모든 전자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김 과장은 “오디오 기기와 통신, 디스플레이 솔루션 부문의 기술이 결합된 것이 홈네트워크 허브”라며 “미국과 유럽 시장에도 진출하겠다”고 밝혔다.
김희경 기자 hkkim@hankyung.com
▶[화제] 급등주 자동 검색기 '정식 버전' 드디어 배포 시작
▶[은행이자보다 3배 수익으로 알려진 호텔식 별장]
▶한경 슈퍼개미 "소문이 많이 나지 않았으면...최대한 오랫동안 혼자 쓰고 싶거든요"
女연예인 60명 성관계 동영상 공개돼…경악
토니안, '모태 부자'라더니 '이 정도였어?'
'女고생 성폭행' 차승원 아들, 법정 나오자마자
배우 윤태영, 유산만 450억? 집안 봤더니
김정은 옛 애인, '성관계' 촬영했다가 그만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