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hankyung.com/photo/201309/2013090880021_AA.7826593.1.jpg)
국립극단이 기획·제작하고 박근형 연출가가 각색·연출해 서울 서계동 백성희장민호극장에서 공연 중인 연극 ‘개구리’(사진)는 고대 그리스 희극작가 아리스토파네스가 쓴 동명 원작에 ‘지금의 시대’를 담아내려고 애쓴다. ‘2500년 전 아테네’를 ‘2013년 대한민국’으로 바꾼다. 하지만 아리스토파네스가 기발한 상상력으로 그리스 신화와 세계관, 현실을 섞어 만들어낸 이야기 구조와 ‘오늘의 한국 상황’과의 조합은 서로 융화하지 못하고 곳곳에 서투른 흔적을 남긴다.
원작은 이렇다. 연극의 신 디오니소스는 쇠락하는 아테네를 구원하기 위해 저승에 있는 ‘위대한 비극 시인’ 중 한명을 데려오기로 한다. 그는 제자 크산티네스와 함께 뱃사공 카론의 거룻배를 타고 개구리들이 울어대는 강을 건너 우여곡절 끝에 저승에 도착한다. 저승의 지배자 플루톤의 주재로 이승에 갈 시인을 뽑는 선발전이 벌어진다. 두 후보인 아이스킬로스와 에우리피데스가 서로의 작품을 비평하며 논쟁과 실연을 벌인다.
공연은 삼촌과 조카 사이인 신부와 동자승을 등장시킨다. 이들은 이 세상에 희망을 불어줄 ‘그분’을 모셔오기 위해 이승과 저승 사이 강을 건너고, 송장 개구리들과의 한바탕 드잡이질을 벌이고, 모진 고문을 이겨낸 후 염라대왕이 지배하는 저승 문턱에 도착한다. 저승에서는 비극의 실연 대신 ‘춘향전’ 놀이마당이 펼쳐진다.
여기까지는 그런대로 따라갈 만하다. 극은 후반부에서 무너진다. 원작의 백미인 날카롭고 깊이 있는 문예비평을 각각 자살과 타살로 삶을 마감한 두 전직 대통령 간의 낡고 해묵은 정치·과거사 논쟁으로 대체한다. 둘 중 한명은 신부가 모시고 오려는 ‘그분’이다. 비극 시인을 대체할 만한 인물을 우리 시대에선 그렇게 찾기 어려웠을까. 결국 극은 ‘그분’ 대신 “아이들이 미래의 희망”이라며 동자승의 어머니를 데려오기로 하고 다 같이 ‘희망가’를 부르며 끝난다. 뭔가 잔뜩 펼쳐 놓은 것에 비하면 허무한 결말이다.
당대 현실에 대한 신랄한 비판이나 현실을 개선하려는 원작자의 의지는 온데간데없다. “말터이다, 말터이다”를 외치는 춘향이의 무지막지한 모습만이 여운으로 남는다. 고전 희극을 현대적으로 각색했지만 처음부터 잘못 꿰맞춘 무대였다. 공연은 오는 15일까지, 1만~3만원.
송태형 기자 toughlb@hankyung.com
▶[화제] 급등주 자동 검색기 '정식 버전' 드디어 배포 시작
▶[은행이자보다 3배 수익으로 알려진 호텔식 별장]
▶한경 슈퍼개미 "소문이 많이 나지 않았으면...최대한 오랫동안 혼자 쓰고 싶거든요"
<li>비, 김태희 100억 빌라 소식 듣고 갑자기…</li>
<li>"안마사가 아내 엉덩이를…" 중년男 '깜짝'</li>
<li>'돌발' 신동엽, 인터뷰 중 女리포터를 '덥썩'</li>
<li>'스폰서'에게 수입차 선물받는 미녀 정체가</li>
<li>이의정, 6년 전 파산 신청하더니…'발칵'</li>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