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D 투자 19%…업계 두배
매출 42%가 해외시장서 글로벌제약사 도약 '꿈'
![](http://www.hankyung.com/photo/201309/2013091176551_AA.7837343.1.jpg)
하지만 올해 LG생명과학이 확 달라졌다. 지난 2분기 매출 1107억원에 영업이익 59억원(연결기준)을 기록했다. 상반기 기준으로는 지난해 적자에서 올해 흑자로 전환했다. 지난해 85억원에 그쳤던 순이익도 올해 큰 폭으로 늘어날 것으로 회사 측은 기대하고 있다.
○R&D에 많은 투자
![](http://www.hankyung.com/photo/201309/2013091176551_AA.7837506.1.jpg)
LG생명과학은 자체 개발한 신약을 해외 시장에서 많이 팔았다. 상반기까지 해외수출은 전체 매출의 42.6%로 절반에 육박한다. 세계보건기구 등에 납품하는 백신 제품이 수출효자 노릇을 하고 있다. 지난해 8월 세계보건기구(WHO)의 입찰참여조건인 사전적격심자 가격을 획득했다. 유엔 산하 기구 국제입찰에 B형간염백신 ‘유포박’ 등을 본격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길을 열었다.
○신약 제미글로 판매 늘어
올해 초부터 판매를 시작한 자체개발 국내 첫 당뇨병치료제 ‘제미글로’가 수익개선에 큰 기여를 하고 있다. 지난 1월 1억원 수준에 그쳤던 제미글로 처방액은 최근 월 7억~8억원 수준으로 늘었다. ‘신약 성공의 바로미터’로 제약업계가 판단하는 ‘월 처방액 10억원’을 올해 안에 넘길 것으로 예상된다.
이 약은 당뇨치료제 분야에서 가장 인기가 높은 물질을 재료로 만든 데다 하루에 한 알만 먹으면 되는 ‘단일용법’으로 편의성이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오는 11월에는 다른 성분과 합친 복합제까지 나온다. 패키지판매가 가능해지면 제미글로 판매에 탄력이 붙을 것으로 회사 측은 기대하고 있다.
매출액의 10%를 로열티로 받는 조건으로 지난해 12월 다국적 제약사 사노피아벤티스와 체결한 제미글로 기술수출 건도 LG생명과학에는 큰 힘이 되고 있다. 사노피 측이 러시아 중동 등 80개국에서 판매를 담당하고 LG생명과학은 제미글로 원료 또는 완제품을 공급할 계획이다. 판매는 내년 하반기부터 본격적으로 이뤄질 전망이다. 증권가에서는 제미글로 신약 가치를 4000억원대로 평가하고 있다.
○“글로벌 제약사로 도약하겠다”
정일재 사장은 외부 노출을 꺼리는 최고경영자(CEO)로 제약업계에 유명하다. LG텔레콤 대표를 지낸 뒤 2011년 초 LG생명과학 사장으로 부임한 그는 언론 인터뷰는 물론 업계 행사에도 모습을 잘 드러내지 않았다. 기자간담회를 가진 것은 올해 초가 처음이었다. 다른 외부 활동도 거의 없다.
정 사장은 그동안 LG생명과학을 ‘R&D 중심의 제약사’로 만드는 데 온 힘을 쏟아부었다. 지속적인 R&D 투자가 최근의 실적 개선으로 나타나고 있다는 게 회사 안팎의 평가다.
LG생명과학 관계자는 “국내 영업은 우리보다 더 잘 할 수 있는 업체에 맡기고 순환기계통과 백신 R&D에 집중하는 전략이 성과를 내기 시작했다”며 “신약 제미글로 수출을 계기로 글로벌 제약사로 도약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형호 기자 chsan@hankyung.com
▶[화제] "신기해서 난리" 주식용 네비게이션 드디어 등장
<li>- 비, 김태희 100억 빌라 소식 듣고 갑자기…</li>
<li>- 조영남, 청담동서 9000만원을 순식간에…</li>
<li>- '대세女' 클라라, 잘 나가다 갑자기 '날벼락'</li>
<li>- 유이, '대기업 회장님'과 무슨 관계이길래…</li>
<li>- "안마사가 아내 엉덩이를…" 중년男 '깜짝'</li>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