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은행 인수위는 13일 창원상공회의소에서 긴급회의를 열고 기업은행의 경남은행 인수는 그동안 정부가 민영화를 추진하면서 내세운 ‘조기 민영화, 공적자금 회수 극대화, 금융산업 발전’이라는 원칙을 모두 위배하는 것이다고 주장했다.
인수위는 “정부(기획재정부)가 68.9%의 지분을 가진 기업은행이 경남은행을 인수하는 것은 2002년 이후 막대한 비용과 시간을 들여 힘들게 추진해 온 우리금융 민영화 노력을 무산시키는 것으로 이런 형태의 경남은행 민영화는 공적자금 돌려막기에 불과해 국민을 우롱하는 처사”라고 밝혔다.
또 인수위는 기업은행과 경남은행은 설립목적이 다른 은행으로 기업은행이 경남은행을 인수·합병할 경우 지방은행이 사라지게 되고 지방 균형 발전을 저해하는 폐해가 발생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경남은행 노조도 이날 성명서를 내고 “지역환원은 460만 경남·울산 시도민의 10년 염원이며, 공적자금 투입은행의 오명을 씻고 지역은행으로서의 위치를 되찾기 위한 과정이다”며 “금융당국은 경남은행의 지역환원을 위해 지역컨소시엄에 우선협상권을 부여해 정부와 지역민 모두가 만족할 수 있는 지혜로운 결정을 하기 바란다”고 밝혔다.
한편 이날 인수위 회의에서는 울산·경남지역 상공인이 주도하는 지역 컨소시엄은 트루벤인베스트먼트와 자베즈파트너사가 공동으로 구성하는 사모펀드(PEF)와 함께 경남은행 인수 입찰에 참여하기로 결정하고, 오는 23일 경남은행 주식매각 예비입찰서를 제출하기로 했다.
트루벤인베스트먼트와 함께 새롭게 참여하는 자베즈파트너스는 2009년 설립해 현재 5000억원 이상을 운용하고 있는 사모펀드 운용 전문회사다.
창원=강종효 기자 k123@hankyung.com
▶[화제] "신기해서 난리" 주식용 네비게이션 드디어 등장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