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대수의 법칙(law of large numbers)’이란 어떤 특정한 현상이 일어날 확률은 적은 횟수로 측정했을 땐 뚜렷이 나타나지 않지만그 횟수를 크게 늘리면 이론적 확률로 접근한다는 것이다. 다음 중 대수의 법칙에 근거한 산정 결과로 보기 어려운 것은?
① 회사채 등급 ② 자동차 보험료 ③ 누진적 전기요금 ④ 개인연금 납입금 ⑤ 은행 신용대출 금리
해설
통계학에서 어떤 사건·현상 등을 관찰할 때 관찰 횟수가 많아질수록 일정하게 규칙적 관계가 나타나는 것을 대수의 법칙이라고 한다.
예를 들면 주사위를 던져 어떤 숫자가 나오는가를 조사할 때 특정 숫자가 연속으로 나올 수도 있지만 계속해서 던지면 1부터 6까지의 수가 나오는 횟수는 규칙적인 관계가 나타난다. 이는 관찰 횟수가 많아짐에 따라 일시적 혹은 우연적인 원인 등이 상쇄되기 때문이다. 회사채 등급, 자동차 보험료, 은행의 신용대출 금리, 개인연금 납입금 등의 산정은 이런 대수의 법칙에 의해 결정된 것이다. 누진적 전기요금은 전기 사용량이 많을수록 전기요금을 더 물리는 요금체계다.
정답 ③
▶[화제] "신기해서 난리" 주식용 네비게이션 드디어 등장
- <li>[국가공인 1호 한경 TESAT] 한국은행의 통화정책 목표</li><li>[국가공인 1호 한경 TESAT] 디플레이션</li><li>[국가공인 1호 한경 TESAT] 비자발적 실업의 크기</li><li>[국가공인 1호 한경 TESAT] 독점</li><li>[국가공인 1호 한경 TESAT] 회사의 현금흐름</li>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