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켓인사이트] "위기 끝났다"…은행채의 귀환

입력 2013-09-17 16:14   수정 2013-09-17 21:51

5개월째 순발행 행진…올들어 6조1700억
기업은 여윳돈 늘며 회사채 순발행 6년來 최소



마켓인사이트 9월17일 오후 1시9분

은행의 대출 경쟁이 치열할 때 유행하던 은행채 발행이 살아나고 있다. 반대로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대출 축소에 따른 ‘풍선 효과’로 발행이 급증했던 회사채는 순상환 기조로 돌아섰다. 전문가들은 2008년 9월 리먼브러더스 파산 이후 5년간 금융시장의 ‘새로운 질서(뉴노멀·new normal)’로 자리 잡았던 ‘대출 축소’의 끝이 보이고 있다고 해석했다.

17일 KIS채권평가 집계에 따르면 국내 은행채는 올 4월부터 지난달까지 5개월 연속 순발행을 이어갔다. 호황기였던 2006년 12월부터 2007년 11월까지의 12개월 연속 이후 최장기 순발행 기록이다. 올해 1~8월 누적 순발행 금액은 6조1700억원을 나타냈다. 2009년부터 지난해까지 연간 최소 7조원대에서 최대 38조원씩 순상환되던 데서 분위기가 완전히 돌아섰다.

금융위기로 인한 타격이 가장 컸던 건설업에 대한 자금 회수도 일단락된 것으로 보인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예금 취급기관의 산업별 대출 총액 중 건설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2008년 3분기 말 10.6%에서 거의 매분기 하락을 거듭했다. 하지만 지난해 4분기 5.6%를 찍은 뒤 올 1분기 5.7%로 다소 늘어나는 등 하락세가 주춤하는 모습이다. 윤영환 크레디트 애널리스트는 “은행의 대출 축소 움직임이 마무리됐다는 신호들이 나타나고 있다”며 “위기를 한고비 넘긴 것으로 해석된다”고 말했다

기업들의 자금 사정에도 여유가 생겼다. 한국은행은 비금융 기업들의 자금 부족 규모가 지난 2분기 1조3000억원으로 전분기 7조5000억원에서 대폭 감소했다고 지난 16일 발표했다. 경기침체를 겪으면서 기업들이 설비 투자를 줄이고 현금 보유를 늘린 결과다. 자금 사정에 여유가 생기면서 위기 때 가파른 증가세를 보인 회사채 순발행 규모도 줄어들고 있다. 올 1~8월 누적 순발행 금액은 2조원으로 6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을 나타냈다. 지난해 같은 기간에는 7조9000억원어치가 순발행됐다.

시장 일각에선 국내 시장에서도 부채 축소와 탈세계화, 재규제로 요약되는 위기 후 새로운 질서에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다고 해석했다. 윤 애널리스트는 “기업 재무구조 개선과 재무정책 보수화가 끝났다”며 “우리 경제가 정상적인 성장세로 복귀하는 ‘새로운 질서 이후’의 단계로 들어섰다는 신호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이태호 기자 thlee@hankyung.com







▶[화제] "신기해서 난리" 주식용 네비게이션 드디어 등장





관련기사


    <li>다른 男과 성관계한 아내 속옷 봤더니… </li>
    <li>한혜진, 기성용과 결혼한 지 3개월 만에…</li>
    <li>女 "나 숫처녀야" 고백에 예비신랑 반응이</li>
    <li>女직원, 추석 때 출근했더니 부장이…충격</li>
    <li>조영남, 청담동 자택서 3명의 女와…발칵</li>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관련뉴스

    top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