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상보육과 관련해 양육수당과 보육료조차 마련하기 어려운 마당에 '설상가상'으로 내년 7월부터 기초연금 시행에 따른 부담까지 떠안아야 하기 때문이다.
정부의 기초연금 최종안에 따르면 내년 7월부터 65세 이상 노인 가운데 소득기준 상위 30%를 제외한 나머지 70%에 매달 10만∼20만원의 기초연금이 지급된다.
이같은 기초연금을 내년 7월부터 적용한다고 가정하면 내년기준 국비는 5조2000억원, 지방비는 1조8000억원이 소요된다.
정부가 지자체 부담을 덜어주고자 앞으로 10년에 걸쳐 지방교부금 1조5000억원을 더 얹어주기로 했다지만, 이 돈으로 기초연금 부담을 충당하기에는 충분하지 않다는 게 지자체의 입장이다.
현재 67만4000명에 대한 기초노령임금 2180억원(도비+시·군비)을 부담하고 있는 경기도와 도내 31개 시·군은 정부안 적용시 내년에 1131억원을 더 부담해야 한다.
전국 지자체는 너도나도 국비지원 확대를 해결책으로 제시하고 있다.
부산시는 노인기초연금에 대한 국비 지원비율을 현재의 72%에서 80%까지 올려야 지방정부의 재정에 숨통이 트일 것이라고 밝혔다.
전남도는 한 발짝 더 나가 "가뜩이나 어려운 지방재정에 수백억원이 추가되면 재원조달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면서 "노인기초연금 전액을 국비로 지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경닷컴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
<li>女직원, 부장님 해외 출장에 동행했다가…</li>
<li>식물인간女, 임신 4개월이라며…충격 사연</li>
<li>'3000평 대저택'사는 女배우 남편 재력보니</li>
<li>소유진 남편, '밥장사'로 수백억 벌더니…</li>
<li>한혜진, 기성용과 결혼한 지 3개월 만에…</li>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