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hankyung.com/photo/201309/2013092621651_AA.7877092.1.jpg)
책 이름인 《로커베스팅》은 지역(local)과 투자(investing)의 합성어로 지역의 중소기업이나 가게에 투자하는 방식이다. 이 말을 처음 사용한 저자는 “이름도 잘 모르는 지구 반대편의 거대 기업에 투자하는 대신 지역 기업에 투자함으로써 지역사회를 후원하는 동시에 짭짤한 수익을 올릴 수 있다”고 말한다. 지역에서 창출된 돈이 멀리 떨어진 기업 본사에 빨려 들어가는 일 없이 지역경제에 유익한 방향으로 재순환하도록 하자는 것이다.
저자는 먼저 미국 정부의 대기업 선호 정책과 왜곡된 자본시장이 어떻게 지역의 중소기업을 몰락시키고 있는지 지적한다. 벤처 자금은 극소수의 신생기업에만 돌아가고, 주식시장은 돈 많은 대기업을 위한 터전이 됐다는 것.
저자는 “2008년 금융위기 이후 투자자들은 월스트리트 대신 생산적이고 수익성 있는 곳에 투자할 수 있는 대안을 찾기 시작했다”고 말한다. 빠르게 투자했다 이익을 거둬가는 ‘패스트머니’의 반대 개념으로 가까운 곳에 오래 머물게 하는 ‘슬로머니’ 투자가 그런 대안 중 하나라는 것이다.
저자는 로커베스팅 사례를 조사하면서 여러 사람을 만났지만 손실을 본 곳은 거의 없었다고 설명한다. 대형 체인 서점에 밀려 사라질 뻔했던 뉴욕의 한 서점은 이웃 주민들의 도움으로 매출을 40%나 늘렸다. 와이오밍주 소도시 파월의 주민들은 지역의 유일한 백화점이 문을 닫자 직접 투자해 상점을 세웠다. 화려하진 않았지만 주민들의 사랑 덕분에 매년 수익을 올리면서 연 15%씩 배당금을 투자자들에게 지급했다. 지역 농업 투자자들의 자금으로 시작한 레스토랑 파머스 다이너는 지역 내 식재료로 음식을 제공한다는 ‘로컬 푸드’ 붐과 함께 대형 프랜차이즈로 성장했다.
저자는 로커베스팅이 반(反) 대기업 운동으로 여겨지는 것을 경계한다. 지역투자 운동은 지역 기업에 공평한 기회를 줄 것을 촉구하는 운동이지 규모에 반대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저자는 풀뿌리 투자가 활성화돼 지역경제가 튼튼해지면 국가 경제를 다시 세울 수 있는 초석이 될 것이라고 강조한다.
최종석 기자 ellisica@hankyung.com
▶[화제] "신기해서 난리" 주식용 네비게이션 드디어 등장
▶ 별장으로 쓰면서 은행이자 3배 수익 받는곳?
<li>톱 배우, 100억 탕진하더니 美서…충격</li>
<li>女직원, 부장님 해외 출장에 동행했다가…</li>
<li>이영애 남편, 한채영과의 루머에 그만…</li>
<li>'3000평 대저택'사는 女배우 남편 재력보니</li>
<li>식물인간女, 임신 4개월이라며…충격 사연</li>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