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두 재화만이 존재하는 경제에서 두 재화의 가격과 소비자 갑의 소득은 (+)이다. 두 재화의 가격이 각각 세 배 상승하고 갑의 소득도 두 배 증가했다면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은?
(1) 예산선의 기울기는 가파르게 변하고 안쪽으로 이동한다.
(2) 예산선의 기울기는 가파르게 변하고 바깥쪽으로 이동한다.
(3) 예산선의 기울기는 변하지 않고 안쪽으로 이동한다.
(4) 예산선의 기울기는 변하지 않고 바깥쪽으로 이동한다.
(5) 예산선의 기울기는 완만하게 변하고 안쪽으로 이동한다.
[해설] 예산선(buget constraint)은 주어진 예산과 재화 가격에서 소비자가 구입할 수 있는 재화 묶음을 보여주는 선이다. 이때 예산선의 기울기는 한 재화를 다른 재화로 대체할 수 있는 비율을 나타낸다. 즉 두 재화의 상대적 가격으로 결정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사과와 배가 있고 사과 가격이 배 가격의 3배이면 예산선의 기울기가 3이다. 사과와 배 가격이 같은 배율로 상승하면 기울기는 변하지 않는다. 문제에서 두 재화의 가격상승률이 3배로 동일하므로 예산선의 기울기는 변하지 않는다. 단 3배 상승한 가격에 비해 소득은 2배 증가했기 때문에 실질소득은 감소했다.
따라서 예산선은 안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정답 ③
▶[화제] "30초에 380만원" 돈 버는 네비게이션 등장
▶ 별장으로 쓰면서 은행이자 3배 수익 받는곳?
- <li>[국가공인 1호 한경 TESAT] 어느 나라의 총수요</li><li>[국가공인 1호 한경 TESAT] 대수의 법칙</li><li>[국가공인 1호 한경 TESAT] 민간 경제주체</li><li>[국가공인 1호 한경 TESAT] 주식회사 주주</li><li>[국가공인 1호 한경 TESAT] 회사의 현금흐름</li>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