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장 지분율 기준이 무슨 근거에서 나왔는지부터가 논란이다. 공정위는 올 8월 내부거래 현황 분석 결과 상장사는 30%, 비상장사는 20% 기준으로 내부거래 비중이 급격히 증가했다는 이유를 들이댄다. 이들 기업의 내부지분율이 평균 87%에 달했다는 게 공정위 설명이다. 그러나 시시각각 달라지는 게 내부거래다. 특정시점의 분석을 갖고 규제 기준으로 확정짓는 것 자체가 납득이 안 된다. 게다가 내부지분율 87%가 부당한 부의 이전이라고 의심할 절대적 기준이라도 된다는 건가. 그렇다면 내부지분율이 훨씬 높은 중소·중견기업은 왜 규제 대상이 아니어야 하는지도 모르겠다. 이런 자의적 규제 때문에 정상적 경영활동까지 위축되는 건 대기업들이라고 다를 게 없다.
부당 내부거래 판단을 정상가격과의 차이가 7% 이상인지 여부로 가른다는 것도 마찬가지다. ‘현저히 유리한 조건’이 ‘상당히 유리한 조건’으로 바뀐 것과 관련, 정상가격과의 차이를 10%에서 7%로 변경하면 되지 않느냐는 식이다. 합리적 고려나 비교과정 없는 상당한 규모의 거래 규정까지 다 그렇다.
일감몰아주기 규제는 침대보다 짧으면 잡아 늘이고 길면 잘라서 사람을 죽이는 프로크루스테스의 침대와 하나도 다를 게 없다. 더욱 어이가 없는 건 이런 공정위가 대기업집단이 중소·벤처기업을 인수하면 계열사 편입을 3년간 유예하겠다며 이율배반적 요구를 내놓고 있는 점이다. 말도 안 되는 규제를 하다 보니 공정위도 자신이 무슨 일을 벌이고 있는지 분간조차 못 하는 지경에 이른 게 틀림없다.
<li>'기성용 아내' 한혜진, 부친 사업 실패하더니</li>
<li>女 아나, 입사 초반 모텔방에서…폭탄 고백</li>
<li>사법연수원 '불륜사건' 실상은…'대반전'</li>
<li>신성일, 49세 연하 女배우와 침대서…'화끈'</li>
<li>김보민, 김남일에게 '집착'하더니 이럴 줄은</li>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