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자칼럼] 사표 한 장 가슴에 품고

입력 2013-10-01 18:26   수정 2013-10-01 22:02

고두현 논설위원 kdh@hankyung.com


24년 전 창업한 일본 헤이세이건설은 한 해도 빠지지 않고 흑자행진을 거듭하고 있다. 지난해 직원 490명이 올린 매출은 125억엔(약 1500억원)이다. 신입사원들의 ‘취직 인기순위’도 늘 상위권이어서 48명 모집에 명문대 졸업생 7000여명이 몰릴 정도다. 더 놀라운 건 사표를 내는 직원이 거의 없다는 점이다. 신입 기술자는 선배에게, 선배는 더 경험 많은 선배에게 배우면서 최고 기술자로 커가는 성장 과정을 모두가 즐기기 때문이다.

사표(辭表)란 일을 그만두겠다는 뜻을 담은 문서다. 간혹 죽을 사(死)자로 착각하기도 하는데, 영화 ‘공공의 적’의 강철중이 한자로 사(死)를 써놓고 표는 몰라서 ‘死표’라고 적는 장면에서 관객들은 폭소를 터뜨렸다. 사표에도 자진 사표, 권고 사표, 강요된 사표 등 여러 형태가 있다. 고용 관계를 끝내는 합법적 문서이므로 퇴직금 등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자진해서 퇴사하거나 본인 과실로 해고되면 실업급여마저 받지 못한다.

로마 황제 디오클레티아누스처럼 권력의 정점에서 사퇴한 인물도 있다. 로마 속주였던 크로아티아에서 노예의 아들로 태어나 황제 자리까지 오른 그는 재위 21년 만에 군중 앞에서 사의를 밝힌 뒤 황제복을 벗고 낙향했다. ‘로마제국 쇠망사’를 쓴 에드워드 기번은 그를 세계 최초로 황제직을 사임한 인물이라고 기록했다. 55세에 지병으로 물러난 신성로마제국의 카를 5세나 조부의 재위기간을 넘지 않겠다며 60년 만에 퇴진한 청나라 건륭제를 빼고 스스로 황제 자리를 내준 경우는 드물다.

그러나 날마다 복닥거리며 사는 직장인들은 다르다. 최근 조사에서 사표 충동을 느낀 적이 있다고 답한 사람이 95%나 된다고 한다. 가장 큰 이유는 ‘매일 야근이나 초과근무할 때’라고 한다. 고작 야근 때문이냐는 지적도 있지만 요즘은 ‘상사나 동료와의 마찰’ ‘적은 연봉’보다 과도한 근무를 더 심각하게 여기는 모양이다. 몇 년 전 비슷한 조사에서 ‘미래가 불투명할 때’를 첫째로 꼽은 것에 비하면 세태 변화가 무심하다.

사표라는 단어의 검색 빈도는 월요일에 가장 높고 주말로 갈수록 낮다고 한다. 월요병이 사표 충동의 한 요인인 셈이다. 그래서 전문가들은 “사표의 ‘사유’란을 빼곡히 채워본 뒤 정말 이런 걸로 그만둬야 하나 싶은 생각이 들면 마음을 고쳐먹으라”고 조언한다. 누군들 가슴 속에 사표 한 장 품고 살지 않겠는가. 그런데도 함부로 던질 수 없는 데에는 수많은 이유가 있다. 그 중 1번은 ‘당장의 카드값과 생활비 때문’이라고 하니 이 또한 어쩌겠는가. 썼다가 찢기를 반복하며 살아가는 것이 인생이다.

고두현 논설위원 kdh@hankyung.com





관련기사


    <li>'기성용 아내' 한혜진, 부친 사업 실패하더니</li>
    <li>女 아나, 입사 초반 모텔방에서…폭탄 고백</li>
    <li>사법연수원 '불륜사건' 실상은…'대반전'</li>
    <li>신성일, 49세 연하 女배우와 침대서…'화끈'</li>
    <li>김보민, 김남일에게 '집착'하더니 이럴 줄은</li>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관련뉴스

    top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