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상황 고려 당초 계획 18.9%보다 줄여
![](http://www.hankyung.com/photo/201310/2013100307261_AA.7899876.1.jpg)
○3000억원 안팎 세외수익 기대
정부 고위 관계자는 3일 “애초에 팔려고 했던 기업은행 지분 18.9% 가운데 올해 20~30%만 매각하기로 했다”며 “전체 지분의 4~5% 수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지분 18.9%를 매각해 1조7000억원가량의 세외수익을 올리려던 정부 안에서 후퇴한 것이다. 매각량이 줄었을 뿐 아니라 최근 기업은행 주가도 정부가 목표로 세웠던 주당 가격 기준에 크게 못 미치고 있어서다.
정부 계획대로 1조7000억원의 수익을 올리려면 주당 가격이 1만6800원 수준은 돼야 한다. 그러나 기업은행 주가는 1만2000원 안팎에서 좀처럼 움직이지 않고 있다. 지난 2일 종가인 주당 1만2000원을 기준으로 4~5%를 매각하면 정부는 2600억~3300억원의 세외수익을 올리게 된다.
기업은행 지분 매각은 늦어도 11월 초에는 이뤄질 전망이다. 당초 이달 중 매각할 예정이었으나 조금이라도 주가가 더 오를 수 있다고 판단해 11월 초까지 매각 시기를 늦춘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의 다른 관계자는 “블록딜(시간외 대량매매) 방식으로 매각할 계획”이라며 “기업은행 등과 지난 6월부터 몇 차례 IR(기업설명회)을 통해 매수 의사가 있는 기관들과 접촉해왔으며 시기만 결정하면 된다”고 말했다.
○정부 예산 확보 필요
정부가 기업은행 매각 지분을 계획보다 줄여 팔기로 한 것은 내년도 예산 확보를 위해서다. 내년도 복지예산 등을 고려하면 조금이라도 예산을 더 확보해놔야 하는데 시장 눈치만 보다가는 매각 시기를 놓칠 수 있다는 것이다. 최근 주식시장 상황이 기업은행의 블록딜 물량을 모두 소화하기 힘들 것이라는 점도 감안됐다.
당초 정부는 기업은행 지분을 ‘50%+1주’만 남기고 판다는 계획 아래 실무작업을 진행해왔다. 현재 기업은행 지분은 보통주 기준으로 정부가 68.9%를 보유하고 있다. 나머지는 △정책금융공사 1.9% △수출입은행 1.5% △기타 27.7% 등이다.
기업은행의 정책금융 역할이 강화된 것도 매각 지분 축소의 배경이 됐다는 분석이다. 정부는 지난 8월27일 정책금융개편안을 내놓으면서 “기업은행의 경우 가계여신을 더 이상 늘리지 않도록 유도하겠다”고 밝혔다. 개인이 아닌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은행을 경영하라는 것이다. 정부의 의지대로 중소기업 중심의 정책금융을 펼치려면 ‘50%+1주’로는 부족하다는 판단이 작용했다는 설명이다.
박신영 기자 nyusos@hankyung.com
▶[화제] "초당 12만원" 버는 사람들...충격
▶ 별장으로 쓰면서 은행이자 3배 수익 받는곳?
<li>'기성용 아내' 한혜진, 부친 사업 실패하더니</li>
<li>女 아나, 입사 초반 모텔방에서…폭탄 고백</li>
<li>"채 총장, 내연女와 자고 가는 날엔…" 폭로</li>
<li>사법연수원 '불륜사건' 실상은…'대반전'</li>
<li>'파산' 송대관, 빚 갚겠다 했는데…'날벼락'</li>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