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hankyung.com/photo/201310/2013100307951_AA.7899931.1.jpg)
거래소 관계자는 “2011년 구제역 파동으로 양돈농가의 수익성이 악화돼 선물거래 의욕이 꺾였고, 유동성공급자(LP)들도 시장을 빠져나가면서 그나마 있던 수백건 수준의 계약도 거의 사라졌다”고 설명했다.
돈육선물은 가격 변동에 따른 손실을 줄일 수 있는 효과적인 수단이다. 그런데도 돈육선물이 흥행에 실패한 이유는 무얼까.
선물업계 관계자는 “정부가 돈육선물시장을 대신해 가격변동 위험을 줄여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돈육가격이 폭락하면 정부가 돈육을 수매해 비축하면서 돼지고기 소비를 장려하고, 값이 오르면 비축 물량을 풀어 가격을 조정하기 때문에 양돈농민들이 굳이 돈육선물을 이용할 필요가 없다는 분석이다.
양돈농민들은 이에 대해 “현실을 모르고 하는 말”이라고 일축했다. 대한한돈협회 관계자는 “2011년 구제역 파동과 정부의 값싼 수입돈육 공급 때문에 생존권이 위협받고 있다”며 “농민들이 돈육선물 같은 파생상품을 공부해서 활용할 시간이 있겠느냐”고 했다. 거래소 관계자는 “마케팅 활동을 강화했지만 시장이 활성화되지 않아 고민”이라고 했다.
황정수 기자 hjs@hankyung.com
▶[화제] "초당 12만원" 버는 사람들...충격
▶ 별장으로 쓰면서 은행이자 3배 수익 받는곳?
<li>'기성용 아내' 한혜진, 부친 사업 실패하더니</li>
<li>女 아나, 입사 초반 모텔방에서…폭탄 고백</li>
<li>"채 총장, 내연女와 자고 가는 날엔…" 폭로</li>
<li>사법연수원 '불륜사건' 실상은…'대반전'</li>
<li>'파산' 송대관, 빚 갚겠다 했는데…'날벼락'</li>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