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제에도 국립대학 '태학' 있었다

입력 2013-10-03 19:11   수정 2013-10-03 23:10

고구려와 신라뿐 아니라 백제에도 국립대학에 해당하는 태학(太學)이 있었음을 보여주는 백제 유민의 묘지명(墓誌銘)이 중국 당나라 때 수도 시안(西安)에서 발견됐다.

백제 부흥운동사 전공인 김영관 제주대 사학과 교수는 오는 5일 충남 공주시 공주대에서 열리는 제6회 백제문화 국제심포지엄에서 시안 대당서시박물관에 있는 백제 유민 진법자(陳法子)의 묘지명을 분석해 공개한다.

김 교수에 따르면 진법사는 웅진도독부 서부 출신으로 백제무왕 16년(615년)에 태어나 기모군(旣母郡)의 좌관(佐官)으로 관직에 진출한 이래 품달군(稟達郡)의 군장(郡將)을 지냈다. 그러다가 660년 5월 나당 연합군에 백제가 협공을 받자 당군에 투항하고 당나라로 들어가 여러 관직을 거쳤다. 690년 2월 76세로 세상을 떠난 그는 691년 3월 시안에서 장례를 치르고 묘지를 세웠다.

여타 당나라 묘지명과 달리 묘주(墓主)의 가계를 증조부터 기록한 이 묘지명에는 그의 증조가 이름은 진춘(陳春)으로 본방(本邦), 즉 백제에서 ‘태학(太學)의 정(正)’을 지냈으며 관등은 은솔(恩率)이었다는 내용이 나온다고 김 교수는 설명했다.

박한신 기자 hanshin@hankyung.com




▶[화제] "초당 12만원" 버는 사람들...충격
▶ 별장으로 쓰면서 은행이자 3배 수익 받는곳?





관련기사


    <li>'기성용 아내' 한혜진, 부친 사업 실패하더니</li>
    <li>女 아나, 입사 초반 모텔방에서…폭탄 고백</li>
    <li>"채 총장, 내연女와 자고 가는 날엔…" 폭로</li>
    <li>사법연수원 '불륜사건' 실상은…'대반전'</li>
    <li>'파산' 송대관, 빚 갚겠다 했는데…'날벼락'</li>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관련뉴스

    top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