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부동산114(www.r114.com)에 따르면 이번 주 아파트 매매가격은 서울(0.02%), 신도시(0.03%), 수도권(0.03%) 등 일제히 올랐다.
아파트값 상승세는 서울과 수도권은 5주째, 신도시도 4주째 각각 지속됐다.
서울에선 재건축과 일반아파트 가격이 각각 0.10%, 0.01% 동반 상승했다.
서울은 ▲ 강남(0.09%) ▲ 강동(0.09%) ▲ 성북(0.09%) ▲ 영등포(0.06%) ▲ 마포(0.05%) ▲ 도봉(0.04%) ▲ 중구(0.04%) 등이 올랐다.
강남에선 재건축인 개포시영, 은마, 개포주공1·2단지와 삼성동 현대, 압구정동 현대8차 등도 소폭 올랐다.
은마는 1000만원, 신현대는 500만∼2500만원 각각 상승했고 강동의 둔촌주공1단지와 4단지도 1000만원 뛰었다.
성북구 종암동 삼성래미안, 석관동 두산 등은 500만∼1천만원, 영등포는 당산동5가 삼성래미안4차가 1500만∼2000만원 각각 올랐다.
반면 성동(-0.10%), 서대문(-0.06%), 구로(-0.05%), 용산(-0.05%) 등은 내렸다.
신도시 아파트 매매가격은 중동(0.06%), 일산(0.03%), 산본(0.03%), 분당(0.02%) 등이 올랐다.
수도권에서도 ▲ 광명(0.09%) ▲ 과천(0.05%) ▲ 인천(0.04%) ▲ 수원(0.04%) ▲ 김포(0.04%) ▲ 파주(0.03%) ▲ 남양주(0.03%) ▲ 용인(0.03%) 등이 오름세를 보였다.
아파트 전셋값도 서울은 0.23%, 신도시와 수도권은 0.09%씩 동반 상승했다.
서울은 ▲ 강남(0.37%) ▲ 강서(0.36%) ▲ 마포(0.36%) ▲ 성동(0.35%) ▲ 관악(0.34%) ▲ 동대문(0.32%) ▲ 노원(0.30%) 등이 상승했다.
전셋값이 많이 오른 단지는 강남 역삼동 래미안그레이튼(진달래2차)이 1500만∼2000만원 올랐고 대치IPARK는 2000만∼2500만원 상승했다.
강서 화곡동 화곡푸르지오, 내발산동 마곡수명산파크, 마포의 도화동 현대홈타운, 우성, 성산동 월드컵IPARK1차 등 단지도 500만∼1000만원씩 올랐다.
신도시에선 매물 부족으로 중동(0.13%), 일산(0.09%), 평촌(0.09%), 분당(0.08%) 산본(0.07%) 등 순으로 아파트 전세금 상승률이 높았다.
과천(0.29%), 인천(0.17%), 파주(0.16%), 의왕(0.15%), 남양주(0.10%), 용인(0.10%), 군포(0.09%) 등 신도시 아파트 전세도 동반 오름세를 보였다.
한경닷컴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
▶[화제] "초당 12만원" 버는 사람들...충격
▶ 별장으로 쓰면서 은행이자 3배 수익 받는곳?
<li>女배우 충격 드레스 '속옷 하의가 아예…'</li>
<li>'기성용 아내' 한혜진, 부친 사업 실패하더니</li>
<li>"채 총장, 내연녀와 자고 가는 날엔…" 폭로</li>
<li>강남 치과 갔더니 20대 女 서비스가…'헉'</li>
<li>女 아나, 입사 초반 모텔방에서…폭탄 고백</li>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