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전망
정성태 LG경제연구원 책임연구원
이스탄불에서 만난 한 경제학 교수는 2000년대 초중반 터키 경제의 급성장에 대해 특출난 성과는 아니라고 평가했다. 중국 인도 등 다른 개발도상국도 비슷한 시기에 터키에 견줄 만한 성장세를 보였다는 이유에서다. 게다가 2008년 이후에는 성장세가 둔화됐다고 했다.
반면 국제통화기금(IMF)이나 터키 정부 당국자들은 젊고 교육 수준이 비교적 높은 인구가 많고, 인근 국가에 비해 정치 상황이 안정적인 점 등을 근거로 향후 터키 경제에 대해 낙관론을 폈다. 쉽게 낙관적인 견해를 내지 않는 경제학자들의 습성을 감안해도 정부 당국자의 말을 곧이곧대로 받아들이기는 힘들었다.
무엇보다도 터키의 경상수지 적자 규모가 워낙 크기 때문이다. 경상수지 적자는 2011년 국내총생산(GDP)의 10%를 넘어섰고 올해는 6.6%로 예상되고 있다. 경상수지가 적자를 보이는 것은 저축이 투자에 비해 적기 때문이다. 터키의 국내 총저축률은 GDP의 10%대 초중반에 그쳐 투자(GDP의 20% 내외)에 필요한 재원의 상당 부분을 해외 자본에 의존하고 있다.
그렇다고 재정이나 은행 부문에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니다. 2001년 70%에 이르던 정부 부채는 현재 30% 내외이며 재정적자 규모는 2% 정도다. 은행권의 부실 규모나 가계부채는 크지 않은 편이다. 다만 기업 부문에서는 이자율이 낮은 외채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지고 있고 유럽과 중동계 자금의 유입 규모도 크다. 해외 자본의 지속적인 유입이 없다면 성장률은 상당히 낮아질 수밖에 없다.
농업 부문은 강하지만 원유 등 에너지와 공산품을 수입이나 합작기업에 의존하는 경제구조도 개선이 필요하다. 터키 내 자동차 생산 규모는 크지만 조립생산이 주를 이루고 석유정제회사도 하나밖에 없다.
철도의 절반 이상이 1940년대 이전에 깔렸고 이스탄불 인근 도로가 크게 붐비는 등 인프라도 부족한 편이지만 인프라 확충 속도는 느리다. 지하경제가 40%에 달하고 국가 부채를 줄이기 위해 재정긴축을 시행하면서 인프라 구축의 상당 부분을 민간자본에 의존하는 탓이다.
다만 터키의 잠재력은 인근 어느 국가보다 크다. 인구 측면에서의 장점 이외에도 지리적으로 유럽뿐만 아니라 중동, 옛 러시아지역의 물류 중심지 역할에 손색이 없다. 이슬람 색채가 강해졌지만 여전히 상대적으로 개방적이고 정치적 안정성이 높은 편이라는 것도 장점으로 꼽을 수 있다. 저축률을 높여 해외 자본에 대한 의존을 줄이면 경상수지도 점차 개선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물론 이 과정에서 단기적으로 성장률이 하락하는 것은 감수해야 한다. 결국 터키 정부가 과거와 같은 고성장을 추구하지 않는다면 3%대 초중반의 성장 잠재력은 있다고 볼 수 있다.
공동기획 한경·LG경제연구원
정성태 LG경제연구원 책임연구원
이스탄불에서 만난 한 경제학 교수는 2000년대 초중반 터키 경제의 급성장에 대해 특출난 성과는 아니라고 평가했다. 중국 인도 등 다른 개발도상국도 비슷한 시기에 터키에 견줄 만한 성장세를 보였다는 이유에서다. 게다가 2008년 이후에는 성장세가 둔화됐다고 했다.
반면 국제통화기금(IMF)이나 터키 정부 당국자들은 젊고 교육 수준이 비교적 높은 인구가 많고, 인근 국가에 비해 정치 상황이 안정적인 점 등을 근거로 향후 터키 경제에 대해 낙관론을 폈다. 쉽게 낙관적인 견해를 내지 않는 경제학자들의 습성을 감안해도 정부 당국자의 말을 곧이곧대로 받아들이기는 힘들었다.
무엇보다도 터키의 경상수지 적자 규모가 워낙 크기 때문이다. 경상수지 적자는 2011년 국내총생산(GDP)의 10%를 넘어섰고 올해는 6.6%로 예상되고 있다. 경상수지가 적자를 보이는 것은 저축이 투자에 비해 적기 때문이다. 터키의 국내 총저축률은 GDP의 10%대 초중반에 그쳐 투자(GDP의 20% 내외)에 필요한 재원의 상당 부분을 해외 자본에 의존하고 있다.
그렇다고 재정이나 은행 부문에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니다. 2001년 70%에 이르던 정부 부채는 현재 30% 내외이며 재정적자 규모는 2% 정도다. 은행권의 부실 규모나 가계부채는 크지 않은 편이다. 다만 기업 부문에서는 이자율이 낮은 외채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지고 있고 유럽과 중동계 자금의 유입 규모도 크다. 해외 자본의 지속적인 유입이 없다면 성장률은 상당히 낮아질 수밖에 없다.
농업 부문은 강하지만 원유 등 에너지와 공산품을 수입이나 합작기업에 의존하는 경제구조도 개선이 필요하다. 터키 내 자동차 생산 규모는 크지만 조립생산이 주를 이루고 석유정제회사도 하나밖에 없다.
철도의 절반 이상이 1940년대 이전에 깔렸고 이스탄불 인근 도로가 크게 붐비는 등 인프라도 부족한 편이지만 인프라 확충 속도는 느리다. 지하경제가 40%에 달하고 국가 부채를 줄이기 위해 재정긴축을 시행하면서 인프라 구축의 상당 부분을 민간자본에 의존하는 탓이다.
다만 터키의 잠재력은 인근 어느 국가보다 크다. 인구 측면에서의 장점 이외에도 지리적으로 유럽뿐만 아니라 중동, 옛 러시아지역의 물류 중심지 역할에 손색이 없다. 이슬람 색채가 강해졌지만 여전히 상대적으로 개방적이고 정치적 안정성이 높은 편이라는 것도 장점으로 꼽을 수 있다. 저축률을 높여 해외 자본에 대한 의존을 줄이면 경상수지도 점차 개선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물론 이 과정에서 단기적으로 성장률이 하락하는 것은 감수해야 한다. 결국 터키 정부가 과거와 같은 고성장을 추구하지 않는다면 3%대 초중반의 성장 잠재력은 있다고 볼 수 있다.
공동기획 한경·LG경제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