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 저축은행중앙회에 공시된 각 저축은행의 신용대출 금리대별 취급 비중에 따르면, 총 17곳의 저축은행이 주요 대출상품군 평균 대출금리(지난 8∼10월 적용된 가중평균금리)가 연 30% 이상이었다.
저축은행 가운데 연평균 30∼40%의 고금리 대출 비중은 스타(94) 부산HK(93.2%) 예가람(90.1%) 현대(85.7%) 청주(84%) 인성(82%) 순이었다. 자산규모 업계 1위인 HK저축은행(서울)도 연 금리 35∼40%대의 취급 비중이 22%, 연 30%∼35%대의 취급 비중도 56.3%에 달해 연평균 30% 이상 고금리 비중이 78.3%에 달했다.
이 같이 주요 저축은행이 사실상 대부업 최고 금리(연 39%)와 다름없는 신용대출에 치중하면서 지적을 받고 있다. 은행과 대부업체 사이에 있는 서민금융기관으로서의 가교 역할이 무색하다는 것이다.
실제로 저축은행은 일부 대부업체 금리보다 높은 신용대출 상품을 취급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대부업체 러시앤캐시는 지난 7월 신용대출 최고 금리를 연 29.9%로, 리드코프는 지난 8월 우수고객 대상 신용대출 최고 금리를 기존 연 39%에서 29%로 각각 내린 바 있다.
반면 저축은행은 현대저축은행 스타일론(34.8%), 나래론(34.7%), 세이빙론(34.6%)과 예가람저축은행의 라이브S론(34.4%), HK저축은행의 119머니(33.3%) 등 연평균 신용대출 금리가 오히려 높게 나타났다.
금융 당국은 앞서 지난 6월 중순께 은행과 저축은행, 대부업체 간 '금리 단층 현상'을 줄이고자 저축은행의 신용평가체계를 점검했다. 당시 금융 당국의 독려에 저축은행들은 속속 신용대출 금리를 인하했지만, 여전히 30%대의 고금리 비중이 높았다.
금융권 관계자는 "은행이 한자릿수, 보험사 등은 10%대, 저축은행이 20%대, 대부업체가 30%대의 연간 대출금리 적용을 맡아 서민층이 단계적으로 금리를 적용받아 대출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경닷컴 뉴스룸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
▶'박람회장 발칵' 주식 자동매매 프로그램 등장
▶ 별장으로 쓰면서 은행이자 3배 수익 받는곳?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