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는 파업이 종료될 때까지 버스·지하철 등 정상운행을 지원하고, 단계별로 대책을 시행한다. 또한 시민들에게 인터넷 홈페이지·사회관계망서비스(SNS) 등을 통해 실시간 교통대책 및 파업상황을 알릴 예정이다.
지하철 승객이 급격히 늘거나 일부 노선에 집중되는 등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노조 파업돌입과 동시에 이날 오전 9시부터 지하철 1~9호선 전동차 16편성을 비상 대기했다.
또한 지하철 1, 3, 4호선 전철 구간을 운행하는 시내버스 50개 노선에 대해서도 실시간 모니터링 통해 승객 증가 시 출퇴근시간대 차량을 집중 배차할 계획이다.
현재 지하철은 종전과 마찬가지로 오전 5시30분부터 다음날 오전 1시까지 정상 운행되고 있으며 운행간격 또한 그대로 유지되고 있다.
시 관계자는 "현재 수도권 구간 지하철 운행은 코레일의 당초 계획에 따라 평상시 수준으로 정상운행을 유지하고 있다"며 "하지만 파업이 8일 이상 장기화되거나 전면파업이 이뤄질 경우에 우선 지하철1~4호선을 평상시 대비 하루 26회 증회하고, 수도권 구간 버스 연장·증차 등 특별교통대책을 함께 시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파업 장기화 또는 불법 파업이 이뤄질 경우에는 △지하철 1~4호선 26회, △5~8호선 20회, △9호선 4회 등 각 호선별 증회가 이뤄지며, △전철 1, 3, 4호선 구간 시내버스(50개 노선)의 출퇴근시간 집중배차 및 심야시간대 버스 연장 운행 △개인택시 부제 해제 검토 등을 시행할 예정이다.
서울시 윤준병 도시교통본부장은 "업 종료시 까지 시민의 불편함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서울시에서도 만전을 기하겠다”며 “시민들도 지하철 질서유지를 위해 적극 협조해 주실 것"을 당부했다.
한경닷컴 변관열 기자 bky@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
▶'박람회장 발칵' 주식 자동매매 프로그램 등장
▶ 별장으로 쓰면서 은행이자 3배 수익 받는곳?
▶ '미인주'만 골라 잡는 주식계의 카사노바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