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파업 철회] 철도 완전 정상화는 언제쯤?

입력 2013-12-30 11:32  

철도노조가 22일 만인 30일 파업을 철회키로 결정했으나 즉각적인 철도 완전 정상화는 어려울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철도 집행부가 노조원의 복귀 시기를 결정할 내부 절차를 밟고 있어 실제 노조원들이 근무지로 복귀하는 데 어느 정도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이날 오전 10시까지 파업 참가 노조원 8천802명 가운데 28.1%인 2천477명이 일터로 복귀했지만 6천325명은 20일 이상 업무현장을 떠나 파업 대오를 유지해 왔다. 이들 파업 노조원들은 업무에 복귀하더라도 차량 안전운전을 위해서는 일정 시간 휴식을 취해야 한다.

특히 열차운행의 핵심인 기관사는 95.3%가 업무복귀를 거부한 채 파업을 벌여 왔다. 파업에 참가했던 노조원 7천641명에 대한 직위해제도 아직 풀리지 않았다.

'27일 자정까지 복귀하라'는 최연혜 사장의 최후통첩 이후 직위해제가 풀린 노조원은 전무한데 과거 사례에서 보면 업무 복귀 후 직위해제가 풀려 현장에 투입되기까지 보통 3일이 걸렸다.

또 직무분야별, 지역별 직원 안배가 맞아야만 열차가 제대로 운행될 수 있어 어느 한 쪽 직무분야나 지역 노조원들이 전원 업무에 복귀하더라도 다른 쪽 노조원들의 복귀가 저조하면 열차 운행이 어렵다.

더욱이 열차가 그동안 비상계획에 따라 운행됐기 때문에 평상시 있어야 할 위치가 아닌 다른 곳에 전국적으로 분산돼 있어 이를 제 위치로 복구시키는 데 최소 하루가량이 소요될 것으로 코레일은 내다보고 있다.

다만 수도권 전동열차는 차량을 원위치시키는 데 많은 시간이 걸리지 않아 노조원들만 빨리 복귀하면 평시 대비 열차 운행률은 급속도로 높아질 전망이다.

또 파업이 진행되는 동안 공백이 생겼던 차량 및 시설 등에 대한 안전점검도 실시해야 한다.이에 따라 코레일은 당분간 기존 투입된 대체인력을 그대로 유지하는 한편 노조원 복귀 추이를 보며 열차를 증편해 나갈 방침이다.

코레일의 한 관계자는 "과거 사례를 보면 파업 철회 후 열차운행 완전 정상화까지 최소 24시간, 최대 48시간이 걸렸다"며 "파업 철회가 결정된 만큼 노조원들의 조속한 업무복귀를 독려, 최대한 빨리 정상화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30일 열차운행계획은 KTX 152회(평소 대비 73.8%), 새마을호 28회( " 56.0%), 누리로 포함 무궁화호 179회( " 62.2%), 통근열차 24회( " 63.2%), 수도권 전동열차 1천746회( " 84.6%), ITX-청춘 28회( " 63.6%), 화물열차 84회 ( " 34.9%) 등이다.

한경닷컴 뉴스룸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




▶연예인 김종국 집에서 뭐하나 봤더니...충격
▶ 별장으로 쓰면서 은행이자 3배 수익 받는곳?
▶박람회장 발칵" 주식 자동 매매 프로그램 인기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