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hankyung.com/photo/201401/2014010231391_AA.8206889.1.jpg)
보험업 전반의 경영 환경이 우호적이지 않은 만큼 장기보험, 자동차보험, 일반보험과 자산운용 부문별 목표를 명확하게 설정하고 목표 달성을 위한 구체적인 지침을 실행할 방침이다. 건강보험 등 보장성보험에 대해서는 올해 판매 비중을 꾸준히 확대할 생각이다. 최근 경기 침체 등으로 보장성보험의 성장이 주춤해진 상태다. 하지만 장기보험의 중요한 축을 맡고 있는 보장성보험은 저축성보험에 비해 보험사의 수익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http://www.hankyung.com/photo/201401/2014010231391_AA.8206890.1.jpg)
화재·해상보험 등 일반보험 부문은 국내에서 우량 계약을 더 확보하면서 동시에 해외 거점을 기반으로 현지시장에서 영향력을 확대할 계획이다. 다양한 투자처를 발굴하고 새로운 투자 전략을 세워 운용 수익률도 높일 예정이다. 저금리 고착화로 운용 수익률 하락이 계속되고 있어 소매금융을 확대하고 대체투자를 검토하는 등 투자 포트폴리오를 점검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이와 함께 통합 위험관리시스템을 통해 보험, 금리, 투자 부문의 위험 요인을 사전적으로 찾아내고 대응 방안을 마련할 생각이다.
주요 판매 채널인 설계사를 통한 대면 영업은 강화하기로 했다. 지속적인 교육과 영업 지원으로 설계사들의 전문성과 역량을 높여 이미 체결한 보험계약의 유지율 등도 더 개선할 방침이다. 또 우량 고객들의 충성도를 높이고, 20~30대 젊은 층을 공략할 수 있는 마케팅 활동을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안 사장은 “수익성 중심의 책임 경영을 조직 문화로 정착시키고 선진 보험사에 대한 다양한 사례 연구 등을 통해 국내 시장에 적용할 수 있는 부분을 적극적으로 찾아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김은정 기자 kej@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