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고용률 64% 그쳐
2013년 하반기 회복조짐 불구 朴정부 70% 달성 '빨간불'
[ 주용석 기자 ] 지난해 청년층(15~29세) 고용률이 1982년 관련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이후 처음 30%대로 주저앉았다. 정부가 지난해 추가경정예산까지 편성하며 경기 부양과 일자리 창출을 위해 총력전을 펼쳤지만 청년들의 고용 사정은 외환위기와 글로벌 금융위기 때보다 더 나빠진 것이다. 박근혜 정부가 고용률 70% 달성의 기준으로 삼고 있는 15~64세 고용률도 지난해 목표치에 미달해 임기 내 고용률 목표 달성에 빨간불이 켜졌다.
○고용률 70% 목표 차질
![](http://www.hankyung.com/photo/201401/2014011520811_AA.8256339.1.jpg)
국가 간 비교 잣대이자 박근혜 정부의 고용률 70% 목표 기준인 15~64세 고용률은 64.4%로 전년 대비 0.2%포인트 높아졌다. 2011년 63.8%, 2012년 64.2%에 이어 계속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당초 정부는 ‘고용률 70% 로드맵’에서 지난해 고용률 목표를 64.7%로 제시했다.
올해 고용률 목표는 65.6%다. 이를 달성하려면 올해 1년간 고용률을 1.2%포인트나 끌어올려야 한다. 올해 정부가 예상하는 취업자 수 증가 규모가 45만명인 점을 감안할 때 쉽지 않은 목표다. 2011, 2012년 취업자 수가 41만~43만명가량 늘었을 때 고용률 상승폭은 0.4~0.5%포인트에 그쳤다.
○청년 실업률 3년 만에 8%대
![](http://www.hankyung.com/photo/201401/2014011520811_AA.8256340.1.jpg)
하지만 청년층 고용률 감소는 단지 이런 요인만으로 설명할 수 없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이준협 현대경제연구원 국내경제팀장은 “경기 침체로 일자리를 구하기 어려운 데다 청년층이 선호하는 괜찮은 일자리가 부족하다”며 “정부가 청년층 일자리를 늘리는 데 고용정책을 집중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취업자 수를 산업별로 보면 사업·개인·공공서비스업 등에서 23만5000명 늘어나며 일자리 확대를 주도했다. 정부의 보육지원 확대 등으로 보건복지 분야에서만 일자리가 15만5000개 늘었다.
주용석 기자 hohoboy@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