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개의 주파수 대역 묶어
[ 전설리 기자 ] 통신사들의 데이터 속도 경쟁이 치열하다. LTE보다 두 배 빠른 속도의 LTE-A 서비스를 시작한 지 반 년 만에 네 배 빠른 LTE-A 기술이 나왔다.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는 20일 LTE보다 네 배 빠른 데이터 속도를 구현하는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고 발표했다. 주파수집성기술(CA)을 적용, 서로 다른 세 개의 주파수를 묶는 ‘3밴드 LTE-A’ 기술이다.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는 한 개의 광대역 LTE(20㎒) 주파수와 두 개의 LTE(10㎒) 주파수를 묶는 데 성공했다. 이 기술을 적용하면 이론상 최대 300Mbps(초당 메가비트)의 속도가 가능하다. 광대역 LTE의 150Mbps와 LTE의 75Mbs 두 개를 합친 속도다. 이 속도면 800메가바이트(MB) 용량의 영화 한 편을 22초 만에 내려받을 수 있다. 같은 분량의 영화를 내려받는 데 3세대(3G)는 약 7분24초, LTE는 약 1분25초, LTE-A는 43초가 걸린다.
이 기술은 국내 통신사들이 세계에서 처음으로 개발한 것이다. 기존엔 두 개의 주파수 대역만 연결이 가능했다. 3밴드 LTE-A 서비스는 올해 말 상용화할 전망이다. 개발 단계에 있는 칩셋과 스마트폰 단말기가 나와야 상용화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최택진 LG유플러스 서비스개발(SD)본부 기술전략부문장은 “3밴드 LTE-A 기술 표준화와 함께 기지국 장비와 단말기를 준비 중”이라며 “연내 서비스 상용화가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는 다음달 말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리는 ‘모바일월드콩그레스(MWC)’에서 3밴드 LTE-A 기술을 선보인다. SK텔레콤은 세 개의 광대역 LTE 주파수를 연결해 최고 450Mbps 데이터 속도를 구현하는 기술을 시연할 계획이다.
데이터 속도 경쟁과 함께 통신사들의 신경전도 팽팽하다.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는 이날 서로 ‘세계 최초’로 3밴드 LTE-A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고 주장했다. 브랜드 인지도를 인식해 과도한 속도 마케팅 경쟁을 벌이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전설리 기자 sljun@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