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 SIHH] 예술이 된 기술, 손목 위에서 빛나다

입력 2014-02-28 07:01  

파르미지아니 등 16개 브랜드
1500여점 신상 시계 출품



[ 민지혜 기자 ]
기술력과 예술성을 동시에 만족시키기란 여간 어려운 게 아니다. 수백~수천 가지의 부품을 정교하게 맞춰야 하는 기계이면서 동시에 손목 위에 빛나는 하나의 예술 작품이기도 하다. 바로 시계 이야기다. 매년 가장 먼저 ‘올해의 신상 시계’를 만날 수 있는 스위스 국제고급시계박람회(SIHH·Salon International De La Haute Horlogerie)에서는 럭셔리 워치 메이커들이 저마다 기술력과 예술성을 갖춘 대표작들을 선보였다. 지난 1월20일부터 나흘간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2014 SIHH’에서는 리치몬트그룹에 속한 파네라이, 예거르쿨트르, 몽블랑, IWC, 까르띠에, 피아제 등과 독립 시계 브랜드 파르미지아니, 오데마 피게 등 총 16개 럭셔리 브랜드가 1500여점의 신상 시계를 선보였다.

이들 브랜드는 매년 그랬듯이 투르비옹(중력으로 인한 오차를 줄여주는 장치)처럼 고기능을 탑재한 수억원대의 시계와 다이아몬드, 사파이어 등 고가의 보석을 박은 여성용 시계를 경쟁적으로 내놨다. 투르비옹뿐 아니라 5분, 15분 등 일정 시간 단위로 소리가 나는 미닛리피터, 시·분·초를 따로 한 다이얼(문자판) 안에서 보여주는 레귤레이터, 큰 숫자를 새긴 디스크를 다이얼 밑에 넣어 돌아가게 하는 빅데이트 등 이미 나올 만한 기술은 다 선보인 상태다. 하지만 이를 얼마나 독창적이고 아름답게 표현하는지를 놓고 브랜드 간 자존심 대결을 벌이는 상황이다.

예컨대 IWC는 대표 제품인 아쿠아타이머의 회전 베젤(테두리) 시스템을 업그레이드해 착용자인 다이버가 수중에서 머문 시간을 추적할 수 있게 했다. 초창기 아쿠아타이머에서는 2시 방향의 베젤 크라운을 움직여서 설정하는 내부 베젤 방식을 채택했는데 장갑을 낀 채로 베젤 크라운을 움직이기 어렵다는 점을 보완하기 위해 2009년부터는 외부 회전 베젤로 바뀌었다. 올해 나온 IWC의 아쿠아타이머는 먼지와 손상으로부터 측정기를 보호했던 내부 회전 베젤의 장점과 조작이 간편한 외부 회전 베젤의 편의성을 결합시켰다.

파르미지아니 역시 2개의 디스크가 돌아가면서 날짜가 바뀌는 걸 알려주는 빅데이트 기능을 탑재한 ‘토릭 레조낭스3’를 신제품으로 선보였다. 6시 방향의 다이얼(문자판) 안에 빅데이트 기능을 넣었는데 옆면에서 보면 날짜의 십단위 숫자와 일단위 숫자의 디스크가 두 장으로 겹쳐져 있는 걸 알 수 있다. 파르미지아니는 또 브랜드 고유의 ‘8’자 모양 크로노그래프를 탑재한 ‘톤다 메트로’ 컬렉션을 출시했는데 20~30대 젊은 층을 겨냥해 저렴한 가격을 책정했다. 파르미지아니의 엔트리 모델이 보통 2000만원대부터 시작하는데 톤다 컬렉션은 소재에 따라 1400만원대부터 1900만원대면 살 수 있다.

기술 경쟁과 함께 올해 SIHH의 가장 큰 특징으로는 20~30대 젊은 층을 겨냥한 1000만~2000만원대 실용적인 시계를 대표 제품으로 내세웠다는 점을 꼽을 수 있다. 장 마크 자코 파르미지아니 최고경영자(CEO)는 “20~30대 젊은 세대 사이에서 좋은 품질의 럭셔리 시계를 찾는 수요가 점점 늘어나고 있다”며 “이들이 아침부터 밤까지, 또 캐주얼과 정장에 모두 어울리는 시계를 찾기 때문에 럭셔리 워치 메이커들이 합리적인 가격대의 신제품을 더 많이 내놓는 것”이라고 말했다.

강인한 남성 시계로 유명한 파네라이는 올해 주력 제품으로 ‘라디오미르 1940 크로노그래프 플라티노’를 선보였다. 약 8000만원대인 라디오미르 1940 크로노그래프 컬렉션은 45㎜ 크기의 큼지막한 다이얼, 수동으로 작동하는 기계식 무브먼트(동력장치), 시·분·초를 보여주는 크로노그래프와 아이보리 색상의 야광 점이 찍혀 있는 것이 특징이다. 클래식하면서도 캐주얼 의상에도 어울리는 디자인을 채택했다는 설명이다.

또 한 가지 트렌드로는 역시 중국 등 아시아를 겨냥한 디자인을 대거 선보였다는 점이다. 다이얼의 크기를 40~45㎜에서 36~38㎜로 줄이고 두께도 얇게, 색상은 레드 골드 등 중국인이 선호하는 것을 많이 사용했다. 홍콩과 한국 기자들을 모아 신제품을 설명해주는 각 브랜드의 프레젠테이션에서는 홍콩과 중국이 얼마나 중요한 시장인지를 피력하는 마케팅 담당자들의 설명이 매번 이어졌다. 특히 피아제는 중국 장안 지역에서 영감을 받아 소나무, 말 등을 다이얼 위에 표현한 시계와 함께 코끼리, 공작새 등 동남아시아에서 선호하는 동물을 다이얼 안에 담았다.

제네바=민지혜 기자 spop@hankyung.com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