싸이메라 7000만 다운로드 돌파
쇼핑 연계로 수익 모델 찾기도
[ 임근호 기자 ]
![](http://www.hankyung.com/photo/201403/2014030562021_01.8436285.1.jpg)
서울 잠원동에 사는 주부 강경희 씨(42)는 요즘 사진 앱 ‘모멘트캠’에 푹 빠졌다. 중국 하이토크소프트웨어에서 만든 이 앱은 스마트폰으로 찍은 사진을 코믹한 캐리커처로 바꿔준다. 강씨는 “남편과 내 얼굴을 영화 타이타닉 속 한 장면으로 합성해놓고 키득키득거리거나 친구들을 웃긴 장면 속 주인공으로 바꿔 카톡 메시지로 보내주곤 한다”며 “얼굴 특징은 그대로 살아있지만 사진이 아닌 그림이다 보니 페이스북 같은 공개된 곳에 올릴 때도 부담이 작다”고 말했다.
스마트폰으로 찍은 사진을 즉석에서 수정·편집할 수 있게 도와주는 사진 앱의 인기가 날로 높아지고 있다. 카메라 대신 스마트폰으로 사진을 찍는 일이 일상화된 덕분이기도 하지만 사진 앱이 하나의 ‘놀이 문화’ 또는 ‘소통의 도구’로 발전하고 있기 때문이다.
◆사진 앱, 놀이문화로 정착
![](http://www.hankyung.com/photo/201403/2014030562021_AA.8435991.1.jpg)
사진 앱 중에서 가장 인기가 높은 것은 얼굴을 자동으로 예쁘게 바꿔주는 일명 ‘예뻐지는 카메라’들이다. 비싼 포토샵 프로그램을 쓰지 않아도 피부 잡티를 없애줄 뿐 아니라 요즘은 자동으로 눈은 크게 해주고 얼굴은 갸름하게 보이게 하는 기능까지 지원한다.
SK컴즈는 ‘싸이메라’ 덕분에 제2의 도약을 꿈꾸고 있다. 얼굴을 인식해 진짜 화장을 한 것처럼 꾸며주는 기능, 안경과 모자를 써볼 수 있는 기능 등으로 세계 220여개국에서 지금까지 7000만 다운로드를 기록했다. SK컴즈 관계자는 “한국 연예인처럼 얼굴을 꾸밀 수 있어 처음에는 태국베트남 등 동남아지역에서 인기를 끌기 시작했으나 지금은 미국과 유럽 브라질에서도 뜨거운 반응을 얻고 있다”며 “이용자의 78% 이상이 해외에 있다”고 말했다.
한국 구글플레이 무료 사진 앱 중 인기 1위에 오른 ‘캔디 카메라’는 촬영음 없이 셀프카메라를 찍을 수 있다는 점이 인기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남들 눈치 안 보고 식당 미술관 화장실 어디서든 셀카를 찍을 수 있기 때문이다.
◆SNS·전자상거래로 확대
사진 보정 기능에 집중했던 사진 앱들은 이제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와 전자상거래로 영역을 확대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워낙 많은 사진 앱이 나와 있고 기능도 거의 비슷해 지금 이 상태로는 살아남기 힘들다”며 “사진을 바탕으로 새로운 기회를 찾을 필요가 있다”고 진단했다.
이에 따라 SK컴즈는 오는 4월 싸이메라를 ‘사진 기반 SNS’로 확대할 계획이다. 친구들과 사진을 공유하고 그밑에 댓글을 달면서 소통할 수 있게 할 예정이다. 특히 싸이메라의 강점인 얼굴 인식 기능을 활용해 시중에 파는 립스틱을 가상으로 발라 볼 수 있게 한다든지 안경을 써보고 스마트폰에서 살 수 있게 하는 방안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네이버의 ‘라인 카메라’도 모바일 메신저 라인과 연계한 SNS 기능을 계속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라인 카메라는 라인 캐릭터들을 사진에 합성해 분위기나 메시지를 친구들에게 전달할 수 있는 서비스다.
임근호 기자 eigen@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