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든 챔피언’의 저자 독일의 헤르만 지몬은 매출액이 50억유로 이하로 대중에게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시장점유율이 세계 3위 안에 들거나 소속 대륙에서 1위인 기업을 히든 챔피언으로 정의했다. 지몬은 전 세계 히든 챔피언이 2734개라고 분석했다. 이 중 절반에 가까운 1307개가 독일기업이다. 우리는 고작 23개에 불과하다. 박 대통령이 독일의 히든 챔피언을 탐내는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을 것이다.
하지만 히든 챔피언은 하루아침에 나올 수 있는 게 아니다. 대통령이 히든 챔피언을 언급했으니 조만간 해당 부처들은 온갖 정책들을 쏟아내겠지만 그렇게 해서 히든 챔피언이 만들어지면 어느 나라인들 못할 것인가. 히든 챔피언이 가장 많은 독일의 기업환경을 살펴보면 우리가 바꿔야 할 게 한두 가지가 아니란 점을 금방 알게 된다.
무엇보다 능률과 실질을 숭상하는 실학 중시 사회로 가지 않으면 안 된다. 우리처럼 정치인 법률가는 떵떵거리고 기업가, 기술자는 소외받는 분위기에서는 아무도 히든 챔피언이 되려 하지 않을 것이다. 또 기업이 2, 3대로 이어지며 인적, 물적토대가 충분히 축적될 수 있는 환경이라야 한다. 어제 전경련이 독일 경제서 배워야 할 요소로 가업상속에 대한 세제지원이 히든 챔피언을 낳았다고 분석한 점도 같은 맥락이다. 우리 같은 상속세 구조에서는 중소기업이 대를 잇는 것조차 포기해야 할 판이다. 중기 정책도 대(大)수술이 필요하다. 적합업종 등 온갖 보호와 칸막이 정책은 오히려 히든 챔피언의 싹을 자르고 말 것이다. 경쟁과 혁신, 글로벌화만이 히든 챔피언을 만들 수 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