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중앙회는 중기적합업종 지정의 가장 큰 효과는 ‘대기업의 진입·확장 자제에 따른 경영상 심리적 안정감’(65.9%)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이는 원하는 답변을 끌어내기 위한 유도질문이다. 정작 주목해야 할 것은 중기 적합업종이 매출이나 영업이익을 늘리는 데 도움이 됐다는 대답이 9.1%에 불과했다는 점이다. 중기적합업종의 실효성을 위해 동반성장위원회의 권한을 더욱 강화해야 한다는 응답이 72.5%에 달했다는 것도 구조화된 답변이다. 전경련 중기협력센터가 내놓은 1, 2차 협력사의 동반성장 체감도 조사도 마찬가지다. 1차 협력사 10곳 중 7곳, 2차 협력사 10곳 중 4곳이 대·중기 동반성장에 대해 ‘더 좋아졌다’고 답변했다. 이 역시 2차, 3차로 내려가면서 효과가 없었다는 쪽으로 기울게 돼 있는 질문들이다.
중기적합업종 제도에 대한 비판은 위기에 처한 중소기업의 현실을 몰라서도, 지원 필요성을 부정해서도, 대기업이 활갯짓할 자유를 위해서도 아니다. 지금처럼 업종 영역을 구분짓고 큰 경쟁의 바다를 보호의 수족관으로 만들고 나면 히든챔피언도, 강소기업도 불가능한 구조로 전락할 뿐이라는 점 때문이다. 이런 방식은 신규 참입자에게는 진입장벽이요, 중소기업들 간에는 서열변화만 초래할 뿐이다. 설문에서 ‘좋아졌다’라는 응답이 바로 여기에 해당한다. 보호제도가 있다고 해서 보호되는 것은 아니다. 제대로 된 중기지원 제도가 필요할 뿐, 시장을 잘게 구획짓는 지금 같은 방식으로는 중소기업을 우물 안 개구리로만 만들 뿐이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