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덕용 기자 ]
![](http://www.hankyung.com/photo/201404/2014041460131_AA.8574138.1.jpg)
지난 11일 방문한 대구 수성구 대흥동과 삼덕동 일대는 도시와 농촌이 어우러진 도농복합도시였다. 수성의료지구가 들어설 이곳에는 현재 9700여가구 3만여명이 거주하고 있다.
![](http://www.hankyung.com/photo/201404/2014041460131_01.8578792.1.jpg)
수성의료지구는 2017년까지 120만여㎡ 면적에 총사업비 6300여억원이 투입되는 대형 프로젝트다. 이종덕 대구도시공사 사장은 “수성의료지구는 현재 토지 보상이 62%가량 이뤄진 상태로 본격적인 개발을 앞두고 있다”며 “최근 개발계획이 변경되면서 수성의료지구는 지식기반서비스산업의 중심지로 새로 거듭날 것”이라고 설명했다.
○수성의료지구 본격 개발 착수
수성의료지구는 2008년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됐지만 대형 의료기관 유치 등 난관에 부딪히면서 장기간 사업이 진행되지 못했다. 하지만 2012년 이종덕 사장이 취임하면서 분위기는 달라졌다. 이 사장은 “수성의료지구를 ‘되는 사업’으로 만들기 위해 새롭게 조직을 정비하고 사업기반을 다지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http://www.hankyung.com/photo/201404/2014041460131_AA.8574122.1.jpg)
이러한 노력의 결과 가시적인 성과도 나오기 시작했다. 도로 등 기반시설 국비지원 및 안전행정부의 공사채 승인 등으로 사업재원도 안정적으로 확보했다. 확보한 재원으로 지난 1월 보상협의를, 2월에는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개발계획 변경을 승인받는 등 본격적인 조성사업에 착수했다. 이 사장은 “수성의료지구는 글로벌 창조경제의 중심으로 미래 지역을 대표할 명품 신도시로 높이 날아오를 채비를 마친 상태”라고 설명했다.
○지식기반서비스산업 중심지로
수성의료지구는 기존 의료, 교육, 문화산업 위주의 개발방향에서 의료, 정보기술(IT)·소프트웨어(SW) 등 ‘지식기반서비스산업의 중심지’로 변화될 예정이다. 특화 전문병원과 연계해 ‘체류형 의료관광’ 기능을 도입, 해외 환자 유치와 함께 지역 의료관광산업 활성화에 나선다. 또 지식기반산업시설에 ‘차세대 SW융합클러스터’를 조성해 IT·SW 지식기반서비스 인프라를 확충, 정보통신기술(ICT) 관련 기업의 참여로 ‘대구의 실리콘밸리’로 육성할 계획이다.
![](http://www.hankyung.com/photo/201404/2014041460131_AA.8574149.1.jpg)
수성의료지구는 지난달 정부가 지원하는 ‘지역별 특화발전 프로젝트’ 후보로 선정돼 효용가치가 더 오를 전망이다. 정부는 수성의료지구 내에 2017년까지 997억원을 투입해 SW융합기술 고도화사업도 추진, 대구를 국내 SW융합 거점도시로 육성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대구도시공사는 오는 7월 부지 조성공사를 착공해 2017년 조성을 완료할 계획이다. 다음달부터는 배후시설용지(물류·유통상업시설 및 공동주택) 일부를 선수 공급한다.
대구=김덕용 기자 kimdy@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