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hankyung.com/photo/201405/2014051932021_AA.8681301.1.jpg)
국내 최대 공기업인 한국전력은 지난달 14조원대의 부채 감축 계획을 발표했다. 한전은 사업 구조조정과 자산 매각, 원가 절감 등을 통해 2017년까지 총 14조7000억원 규모의 자구 계획을 추진할 예정이다.
![](http://www.hankyung.com/photo/201405/2014051932021_AA.8681293.1.jpg)
한전은 먼저 사업 구조조정으로 2017년까지 총 3조원의 부채를 감축하기로 했다. 국내 사업은 전력 공급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범위 내에서 사업 전반을 원점에서 재검토, 관련 사업 시기와 규모 등을 변경해 투자비를 절감하기로 했다. 한전이 보유한 한전기술과 한전KPS 지분은 경영권을 유지할 수 있는 51%만 남기고, 전력 연관성이 낮은 한전산업개발과 LG유플러스 지분은 전량 매각한다는 계획이다.
해외 사업도 대규모로 축소하기로 했다. 수익성을 내는 사업만 남기는 전략으로 부진한 해외 사업을 과감히 정리하고 신규 투자 또한 억제하기로 했다. 한전 관계자는 “스마트그리드(지능형 전력망)나 에너지저장장치(ESS), 고압전류(HDVC) 사업 등 정보통신기술(ICT)을 융합한 미래 신기술에 대한 투자는 지속적으로 추진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자산 매각에도 속도를 내기로 했다. 한전이 당장 매각할 수 있는 자산은 총 5조3000억원 규모다. 우선 해외사업 중 일부 자원 사업을 매각하기로 했다. 해외 사업을 매각했을 때 국부가 유출될 수 있다는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해 국내 투자자에 파는 것을 우선적으로 고려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서울의 마지막 ‘노른자위’ 땅으로 평가되는 삼성동 본사 부지(7만9342㎡)도 공개경쟁입찰 방식으로 매각하기로 했다. 한전 측은 “매각 가능한 자산은 빠르게 처분해 부채 감축 효과를 극대화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원가 절감을 위해 허리띠도 졸라맸다. 한전은 2013년과 2014년 부장 이상 임직원의 임금 인상분을 전액 반납했다. 노조원을 제외한 전체 임직원에 대해 지난해 성과급 10~30%, 2014년도 성과급 50% 이상도 반납했다. 1인당 복리후생비도 축소한다. 지난해 440만원에서 올해는 217만원으로 50.6% 줄인다.
퇴직금 중 순직 조위금이 폐지되고 퇴직금 산정에서 경영평가성과급이 제외된다. 교육비와 보육비는 공무원 수준으로 조정되며 장기근속격려금도 없애기로 했다. 아울러 장학금 제도도 지원 수준을 축소했다.
조직 문화를 혁신하기 위한 준비도 마쳤다. 한전은 최근 ‘제도·문화 혁신 비상대책 위원회’를 구성해 지난 3월 말에는 서울 공릉동 한전 인재개발원에서 전국사업소 직원 90여명이 ‘끝장 토론’을 통해 쇄신안을 도출하기도 했다.
심성미 기자 smshim@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