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
'머나먼 왕국'은 2D 픽셀아트 모바일 시뮬레이션 RPG다. 평균 5년 이상의 개발 경력을 가진 핵심 개발 멤버가 만든 게임이다.</p> <p>개발사 다이노클러가 설립된 것은 2012년 8월. 이듬해 2월 '머나먼 왕국' 첫 번째 버전이 구글과 애플 마켓 출시되었다. 2013년 8월 '머나먼 왕국:붉은 용 원정대 for Kakao'가 출시되었고, 올해 4월에는 일본과 대만(+홍콩, 마카오)에 출시되었다.</p> <p>'머나먼 왕국'의 3개국 성적표는 한국은 20만 다운로드에 월 DAU 3만~4만, 대만은 100만다운로드에다 월 DAU 40만으로 200만 다운로드를 꿈꾼다. 일본 시장은 대만의 3분의 1 정도로 추산된다.</p> <p>
컴투스에서 같은 팀의 4명 멤버에다 EA 서울스튜디오에서 CTO가 합류, 5명이 의기투합해 충무로 소호(SOHO)에서 스타트업한 다이노클러. 고상원 대표(34)는 '살짝 위기도 있지만 투자도 없이도 스스로 버틴 것만으로도 성공했다'고 했다. '모두 다 오너인 개발사'인 다이노클러는 지난해 9월 서울 방배동 내방역 인근에 둥지를 틀었다.</p> <p>
■ 한국 시장, 돈을 벌지 못했지만 인지도는 쑥쑥
'머나먼 왕국'은 처음 출시할 때 시뮬레이션이었다. 그런데 '카카오'에 입점할 때는 게임을 RPG 형태로 바뀌었다. '충무로 골방에서 돈 한 푼 없이 미래가 불투명했지만 그래도 재미있었다. 시장에 우리가 만들고 싶은 게임을 내놓는다는 목표가 즐거웠다.'</p> <p>고상원 대표는 ''머나먼 왕국'은 돈을 벌지 못했지만 '독특하다'는 반응을 얻었다. 출시 때 '몬스터길들이기'와 '명랑스포츠' 등 쟁쟁한 게임과 경쟁을 하며 프로모션 없이 나름 선전을 했다'고 말했다.
특히 '키프레임 기반의 고품질 그래픽인, 과거의 향수를 불러일으킬 수 있는 픽셀아트가 통했다'며 '카카오 입점 때는 RPG 테마를 결합했다'고 소개했다.</p> <p>'픽셀 아트는 기술 이전 아트다'라고 강조하는 고 대표는 '스마트폰의 변화와 함께 하며 2D 횡스크롤, 전투핵심인 공격대, 레이드 던전-왕국 및 지하 던전 등이 추가됐다. 용사의 경우 아이템을 입혔다. 움직이는 용사에 장비를 채워서 전략적으로 활동할 수 있다'고 했다.
| ![](http://www.gametoc.co.kr/news/photo/201406/18679_38036_1326.jpg) | |
▲ 픽셀 아트캐릭터 |
퍼블리셔 없이 프로모션 한계가 있지만 카카오를 믿고 싶었다. 역시 프로모션없이는 큰 기대를 할 수 없는 구조였다. 그럭저럭 20만 다운로드를 기록한 것에 만족해야 했다. 대신 '머나먼 왕국' 인지도는 확실히 올라갔다.</p> <p>■ 이제 해외서비스 집중...북미 계약 8월 정도 출시
이제 '머나먼 왕국'은 대만과 일본에서 서비스를 한다. 카카오 출시 이후 업계를 통해 입소문이 퍼져 인지도가 쑥쑥 올라갔다. 그리고 여러 군데서 관심을 갖고 찾아왔다. 그래서 '해외 나가겠다'고 했는데 실제로 되고 있다. 픽셀 아트는 이질감없이 글로벌에 통하고 한국게임이 아니라 글로벌 게임으로 받아들인 점도 유리했다.
| ![](http://www.gametoc.co.kr/news/photo/201406/18679_38033_1325.jpg) | |
▲ 레이드 던전 |
| ![](http://www.gametoc.co.kr/news/photo/201406/18679_38034_1326.jpg) | |
▲ 지하 던전 |
고 대표는 '내부적으로 해외 직접 서비스로 하는 것은 전혀 고려하지 않는다. 현지 퍼블리셔를 통해 '제대로 현지화'를 하기로 방침을 세웠다. 가령 일본 플레이넥스트 등 지역별 퍼블리싱을 운영하겠다'며 '북미도 계약이 성사되었다. 미국과 캐나다에는 소프트랜딩한 후 8월 정도 본격 서비스할 것 같다'고 말했다.</p> <p>다이노클러의 장점은 정부지원과 자체기금으로 스타트업을 시작해 자금에 크게 걱정은 없었고, 손발이 딱딱 맞는 팀으로 시작해 개발에만 집중할 수 있다는 것. 이제 해외 서포팅 계약을 해 자금 이외 운영 이슈를 갖게 되었다. 그것만으로도 훌쩍 큰 것이다.</p> <p>■ '보글보글에 푹 초등학교부터 개발자 꿈'
고상원 대표는 EA모바일와 퀄컴, 컴투스를 거치며 프로그래밍, 프로듀싱을 맡았다. 그는 '오락실 가서 '보글보글' '슈퍼팡'을 하다 들켜 아버지에게 흠씬 두들겨맞고 '컴퓨터로 만들어봐라'는 엄명을 받고 초등학교부터 개발자 꿈을 가졌다'고 했다.
EA모바일에서 병역특례를 하며 피처폰 게임 '영웅서기1' '하얀섬' 개발에 참가했다. 그리고 퀄컴에 갔다가 컴투스로 이직해 다이노클러 멤버가 된 같은 '팀'과 의기투합, 회사가 설립한 것이다. 이정원-이진섭 아트 디렉터는 EA모바일와 컴투스, 양윤정 게임 디자이너는
CJ E&M에서 모바일 앱스토어를 담당하다 개발에 흥미를 가져 컴투스에서 한팀이 되었다.</p> <p>프로그래밍을 맡고 있는 김병선 CTO는 모바일게임 '하얀섬'으로 입문해, EA 서울 스튜디오에서 '피파온라인3' 개발에 참가했다. 재미있는 것은 김 CTO(31)와 양 디자이너(29)는 대원외고 선후배고, 고상원 대표와 김 CTO는 연세대 클래식 기타 동아리이자 컴퓨터공학과 선후배다.</p> <p>
| ![](http://www.gametoc.co.kr/news/photo/201406/18679_38038_1326.jpg) | |
▲ 고상원 대표-양윤정 게임 디자이너-김병선 CTO(왼쪽부터). |
고 대표는 '김 CTO와 2학번 차이지만 클래식기타 동아리에서 만났다. 이처럼 다이노클러는 팀웍이 강점이다. 스타트업은 미래가 불투명하지만 시장에 빠르게 대응하고 테스트도 발빠르게 검증하는데는 팀웍이 중요하다'며 '글로벌 운영에 경험을 쌓아가고, 앞으로 '머나먼 왕국'의 IP를 살려 차기작도 픽셀아트 특장점을 어필하려고 염두하고 있는데 손발이 잘 맞아 좋다'고 웃었다.</p> <p>한경닷컴 게임톡 박명기 기자 pnet21@naver.com</p>
게임톡(http://www.gametoc.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한경스타워즈] 증권사를 대표하는 상위권 수익률의 합이 110%돌파!! 그 비결은?
[한경닷컴 스탁론] 최저금리 3.5% 대출기간 6개월 금리 이벤트!
[한경컨센서스] 국내 증권사의 리포트를 한 곳에서 확인
[한경+ 구독신청] [기사구매] [모바일앱]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