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생진드기 바이러스, 치사율 45.7%…증상은?

입력 2014-06-08 09:37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바이러스에 감염된 환자 가운데 절반 정도가 생명을 잃은 것으로 나타났다.

8일 질병관리본부가 공개한 '국내 SFTS 발생 현황과 역학적 특성'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5월부터 올해 3월까지 SFTS 의심 사례로 신고된 420명 가운데 36명이 바이러스 검사 결과 확진 판정을 받았다.

보건당국의 이번 분석은 확진자 가운데 증상이 나타난 35명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35명 중 사망한 환자는 모두 16명으로, 치명률(치사율)은 45.7%로 집계됐다. 이는 중국(6%), 일본(39.6%)을 웃도는 수준이다.

신종 감염병으로서 아직 국내에서 발견된 환자 수 자체가 많지 않은데다 중증 환자 위주로 보고되고 있어 치명률이 높다는 게 질병관리본부의 설명이다.

또 보다 확실하게 치명률 차이의 원인을 밝히려면 중국·일본 등 주변국에서 발견된 SFTS 바이러스와 국내 바이러스를 비교하는 추가 연구도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발생 시기를 월별로 나눠보면, 6월(9명·25.7%)에 감염된 환자가 가장 많았다. 이어 5월(7명)·7월(6명)·9월(5명) 등의 순이었다.

환자의 80%(25명)가 50세 이상이었고, 전체 환자 연령의 중앙값(가운데 수치)은 73.5세였다.

사망자와 생존자를 나눠보면 연령 중앙값이 각각 73.5세, 61세로 나이가 많을수록 회복이 쉽지 않았다.

거주지는 주로(26명·74.3%) 시골(rural) 지역으로, 직업 역시 농업(19명·54.3%)·임업(6명·17.1%)이 전체의 70%를 넘었다.

진드기에 물릴 당시 행위도 농작업 20명(60.6%), 임작업 7명(21.2%), 등산 6명(18.2%). 성묘 3명(9.1%) 등으로 거주지나 직업과 관련이 있었다.

31.4%(11명)의 환자에서 진드기에 물린 흔적이 확인됐고 12.5%는 발병에 앞서 환자 자신이 진드기에 물린 사실을 알고 있었다.

행정구역상 환자의 분포는 제주 6명, 경북 5명, 대구 5명, 전남 4명, 강원 3명 등으로 나타났다. 서울·대전·광주·충북·전북·세종시 등에서는 환자가 보고되지 않았다.

모든 환자는 공통적으로 발열·오한(춥고 떨림) 증상을 보였고, 피로감(26명·74.3%)·의식저하(26명·74.3%)·설사(22명·66.9%)·식욕저하(21명·60.0%)·근육통(19명·54.3%) 등도 흔했다.

한경닷컴 뉴스룸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



[한경스타워즈] 증권사를 대표하는 상위권 수익률의 합이 110%돌파!! 그 비결은?
[한경닷컴 스탁론] 최저금리 3.5% 대출기간 6개월 금리 이벤트!
[한경컨센서스] 국내 증권사의 리포트를 한 곳에서 확인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