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백승현 기자 ]
![](http://www.hankyung.com/photo/201406/2014061748491_AA.8791781.1.jpg)
노동계의 대화 제의에 노사정위는 즉각 환영 의사를 밝혔다. 그도 그럴 것이 노사정위는 지난해 12월 철도노조 파업 때 한국노총이 자리를 뜬 이후 ‘개점휴업’ 상태다. 연초에는 노동계가 노사정위를 제쳐두고 정치권을 통해 노동현안들을 노사정소위로 보내면서 자존심을 구긴 터라 더욱 반겼다. 고용부도 ‘장소와 형식에 구애받지 않고 사회적 대화는 환영’이라는 입장을 재확인하면서 참여 의사를 보였다. 대화 당사자 5명 중 4명이 참석 의사를 밝힌 상황이라 분위기는 좋았다.
하지만 며칠 후 기재부에서 ‘브레이크’가 걸렸다. 노사정위의 비공식적인 의사 타진에 ‘노동계와 협의할 사안이 아니다’라는 입장을 밝힌 기재부는 지난 12일 열린 공공기관운영위원회에서 ‘공공기관 정상화 대책은 해당 노사가 자율적으로 협의해 추진해야 할 사안’이라고 선을 그었다.
이후 개각과 맞물려 대화 개최 논의가 소강상태이지만 기재부의 강경한 입장에 노사정위는 머쓱해졌고, 노동계는 “노정대화 거부하고 ‘가짜 정상화’를 채찍질하고 있다”고 기재부를 비난하고 있다.
기재부의 ‘공공기관 운영 문제는 노사 간 단협사항’이라는 입장이 잘못된 것은 아니다. 하지만 노동계의 대화 요구가 내부 논란끝에 어렵게 나온 것이었고, 또 이를 계기로 공식적인 사회적 대화기구인 노사정위를 재가동시킬 수 있는 기회였다. 근로시간 단축, 통상임금 확대 등 노동현안이 산적한 상태에서 일단 만남의 자리를 마련하는 것 자체가 큰 의미가 있다는 점에서 아쉽다.
백승현 지식사회부 기자 argos@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