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분 무리한 운동 때문으로, 레포츠 등에 앞서 반드시 충분한 스트레칭이 필요하다는게 전문가들의 조언이다.
13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진료 통계에 따르면 '둔부 및 대퇴부위 근육·힘줄 손상(질병코드 S76)' 환자는 2009년 2만명에서 2013년 4만명으로 66.8% 늘었다.
관련 진료비 역시 같은 기간 45억원에서 65억원으로 46% 정도 불었다.
5년간 남성 환자의 비중은 67.4~68.2%로 여성(31.8~32.6%)의 두 배를 웃돌았다.
연령별(2013년)로는 10대(20.7%)가 가장 많았고, 이어 40대(15.8%)·20대(15.8%) 순이었다.
특히 활동량이 많은 10~30대 남성은 전체 환자의 27.8%를 차지했다.
월별 환자 분포를 보면, 야외 활동이 줄어드는 겨울철(12~2월)과 혹서기(8월)에 햄스트링 환자가 눈에 띄게 감소했다.
엉덩이와 무릎을 연결하는 허벅지 뒤쪽 근육과 힘줄, 이른바 '햄스트링'은 주로 갑자기 달리거나 방향을 바꿀 때 충격을 받아 손상된다.
특히 축구선수의 경우 크게 힘을 실어 슛하는 동작에서 햄스트링 부상을 입는 경우도 흔하다.
허벅지 뒤쪽 가운데 부분을 눌렀을 때 아프거나, 힘이 들어간 상태에서 무릎을 굽히거나 펼 때 허벅지 통증이 심하다면 일단 햄스트링 부상을 의심해 볼 수 있다.
김희순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상근심사위원은 "햄스트링 부상 예방을 위해서는 반드시 운동 전 충분히 스트레칭해야 한다"며 "평소에도 틈틈이 스트레칭을 통해 근육의 유연성을 길러주면 햄스트링 부상을 피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
한경닷컴 뉴스룸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
[한경스타워즈] 증권사를 대표하는 상위권 수익률의 합이 110%돌파!! 그 비결은?
[한경닷컴 스탁론] 최저금리 3.5% 대출기간 6개월 금리 이벤트!
[한경컨센서스] 국내 증권사의 리포트를 한 곳에서 확인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