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하준 지음 / 김희정 옮김 / 부키 / 496쪽 / 1만6800원
[ 이승우 기자 ]
![](http://www.hankyung.com/photo/201407/2014071725431_AA.8902854.1.jpg)
《나쁜 사마리아인들》 《그들이 말하지 않는 23가지》 등의 책으로 잘 알려진 장하준 영국 케임브리지대 경제학과 교수(사진)는 신간 《장하준의 경제학 강의》에서 이 같은 표현으로 날을 세운다. 여기서 말하는 경제학은 현재 경제학계 주류를 차지한 신고전주의 학파다.
저자는 “2008년 금융 위기 직전까지도 대다수의 경제학 전문가는 시장은 실패가 없고, 그나마 존재하는 시장의 사소한 결함은 현대 경제학으로 보완할 수 있다고 설파했다”며 “대부분 경제학자들이 전혀 예측하지 못한 상태에서 2008년 글로벌 금융 위기가 터졌다”고 지적한다. 이어 “위기 이후 지금까지 계속되고 있는 여파에 대해서도 제대로 된 해결책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고 덧붙인다.
이 책은 신고전학파를 정면으로 비판하는 것은 물론 그동안 가려졌던 다양한 경제학 사조들을 알기 쉽게 정리해주는 ‘경제학 입문서’다. 특히 4장 ‘백화제방’은 오스트리아 학파, 행동주의 학파, 고전주의 학파, 개발주의 전통, 제도학파, 케인스 학파, 마르크스 학파, 신고전주의 학파, 슘페터 학파 등 9개 학파를 정리하고 있다.
신고전주의의 장점도 외면하지 않는다. 어떤 현상을 개인 단위까지 내려가서 분석하기 때문에 고도의 정확성과 명확한 논리, 융통성을 갖고 있다는 것. ‘우파’ 마르크스주의자나 ‘좌파’ 오스트리아 학파와 달리 신고전학파에는 조지프 스티글리츠, 폴 크루그먼 같은 ‘좌파’ 경제학자와 제임스 뷰캐넌, 게리 베커처럼 극단적 ‘우파’ 경제학자까지 스펙트럼이 다양하다.
반면 “현 상황을 과도하게 수용한다”는 점은 신고전주의의 한계다. 개인의 선택을 분석할 때 저변에 깔린 사회 구조, 즉 돈과 권력의 분배 구조를 주어진 것으로 받아들인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신고전주의 경제학은 근본적 사회 변화 없이 가능한 선택만 고려하게 된다. 교환과 소비에 초점을 맞추기 때문에 생산 영역을 무시한다는 점도 신고전주의 경제학의 맹점이란 설명이다.
저자는 더 나아가 현실의 요구에 따라 각 학파의 장단점을 취합하는 ‘경제학파 칵테일’도 소개한다. 이를 통해 모든 경제 이론은 저마다의 효용이 있으며 모든 이론 위에 군림하는 ‘절대반지’ 같은 이론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설명한다.
저자는 “기존 경제 질서를 바꾸기가 어렵다는 것을 인정한다 해서, 지난 30여년 동안 세계를 풍미한 경제 체제보다 더 역동적이고, 더 안정적이고, 더 평등하고, 더 지속 가능한 체제를 만들어내기 위한 싸움을 포기해야 한다는 말은 절대 아니다”고 강조한다. 그는 “경제학은 많은 경제학자가 우리에게 말하는 것보다 훨씬 친해지기 쉬운 분야”라며 “우리 모두가 능동적인 경제 시민이 돼 경제의 운용에 참여해야 한다”는 결론을 제시한다.
이승우 기자 leeswoo@hankyung.com
[한경스타워즈] 증권사를 대표하는 상위권 수익률의 합이 110%돌파!! 그 비결은?
[한경닷컴 스탁론] 최저금리 3.5% 대출기간 6개월 금리 이벤트!
[한경컨센서스] 국내 증권사의 리포트를 한 곳에서 확인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