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철호 연구원은 "제도 도입 단계에서 중소형주 수급이 취약해질 가능성이 있다"며 "가격제한폭이 커짐에 따라 증권사들이 신용공여에 대한 위험이 커진 만큼 가산금리를 확대하던가 신용공여비율을 줄이는 식으로 대응할 것으로 예상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반면 대형주는 가격제한폭을 넓힌다 해도 시장의 관심과 분석자료 제공이 빈번해 변동성에 큰 변화는 없을 것이란 판단이다. 결국 중소형주에 대한 기관 및 외국인의 참여가 활발해져 변동성 관련 안전판 역할을 하지 못할 경우 개인들은 대형주를 선호할 것으로 봤다.
가격제한폭 확대가 거래대금을 늘릴 것이란 해석에는 동의하지 않았다.
이 연구원은 "IMF 이전 자본시장 정책은 1992년 증시 개방, 1995년 일중매매 허용, 1996년 선물옵션 등 파생상품 시장 개설, 1998년 무제한 일중매매 허용 등 성장한 경제에 걸맞는 자본시장의 외형을 갖춰 나가는 과정이었다"며 "90년대에 거래대금이 기조적으로 늘어난 원인이 가격제한폭 확대 덕분은 아니었다"고 판단했다.
유가증권시장 가격제한폭 확대는 1995년 4월 이후 세 번 있었다.
한경닷컴 한민수 기자 hms@hankyung.com
[한경스타워즈] 증권사를 대표하는 상위권 수익률의 합이 170%돌파!! 그 비결은?
[한경닷컴스탁론]또 한번 내렸다! 최저금리 3.2% 대출기간 6개월 금리 이벤트!
[한경컨센서스] 국내 증권사의 리포트를 한 곳에서 확인!!
[한경+ 구독신청] [기사구매] [모바일앱] [기사보다 빠른 주식정보 , 슈퍼개미 APP]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