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 씀씀이는 커져 경기회복 긍정신호도
[ 김주완 기자 ]
![](http://www.hankyung.com/photo/201408/2014082280971_AA.9017107.1.jpg)
다만 소득 증가율보다 소비지출 증가율이 크고, 실질적인 가계 씀씀이를 보여주는 평균소비성향도 높아져 경기 회복 가능성은 열려 있다는 분석이다.
22일 통계청의 ‘2분기 가계동향’을 보면 2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415만2000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8% 늘었지만 지난 1분기(5.0%)에는 크게 못 미쳤다. 소비자물가 상승 요인을 제외한 실질소득 기준으로 따지면 1.1% 증가한 것으로 이 역시 1분기(3.9%)보다 3분의 1 이상 낮다.
구체적으로는 가계소득의 60% 이상을 차지하는 근로소득 증가율이 5.3%에서 4.1%로 떨어졌다. 취업자 증가세가 둔화됐기 때문이다. 지난 1분기에 전년 동기보다 74만명 증가했던 취업자 수가 2분기에는 47만명으로 뚝 떨어졌다.
대부분의 자영업자 소득으로 잡히는 가계의 사업소득 부문은 세월호 참사 직격탄을 맞았다. 증가율이 전기(3.2%)보다 큰 폭 떨어진 0.7%에 그쳤다. 자영업자 수는 전년 동기보다 1만4000명 감소했다.
2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비지출액도 247만8000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1% 늘어나는 데 그쳤다. 지난 1분기(4.4%)보다 1.3%포인트 낮은 수치다. 음식·숙박부문(6.1%→4.9%)과 오락·문화 부문(7.6%→6.7%) 증가율이 둔화된 탓이 크다. 모두 세월호 참사 여파와 직결된 지출 항목들이다.
수학여행 취소로 수학여행비가 포함된 기타교육비는 26.0%나 감소했다. 국내 단체 여행비도 18.9%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이동통신사 영업정지로 통신사 가입비 지출이 감소해 통신부문 지출은 5.8% 줄었다. 자동차 구입비도 12.2% 늘긴 했으나 1분기(30.3%)보다는 낮았다.
자동차 판매량은 9만4000대 증가했다. 올 상반기에 신차가 잇따라 출시된 영향도 있지만 지난해 자동차 소비가 크게 준 것에 따른 기저효과로 분석됐다. 2분기 가구당 비소비지출(사회보험료 등)은 77만2000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4% 증가했다.
그러나 2분기 평균소비성향은 73.3%로 0.2%포인트 올랐다. 평균소비성향은 세금과 이자 등 비소비지출을 빼고 남은 처분가능소득 중 얼마를 썼는지를 나타내주는 지표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세월호 참사로 경제 주체들의 심리가 전반적으로 위축됐지만 2분기 가계지출이 소득보다 더 빨리 증가하고 평균소비성향이 올라 경기 회복의 긍정적인 신호도 보였다”고 설명했다.
세종=김주완 기자 kjwan@hankyung.com
[한경스타워즈] 증권사를 대표하는 상위권 수익률의 합이 170%돌파!! 그 비결은?
[한경닷컴스탁론]또 한번 내렸다! 최저금리 3.2% 대출기간 6개월 금리 이벤트!
[한경컨센서스] 국내 증권사의 리포트를 한 곳에서 확인!!
[한경+ 구독신청] [기사구매] [모바일앱]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국경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