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일러 준칙은 물가와 GDP 성장률을 바탕으로 적정금리를 결정하고 통화정책을 운용하는 원리다. 테일러 교수는 물가와 성장률이 트레이드 오프(trade-off·상쇄) 관계가 있다는 데 주목해 이들을 합쳐 적정금리를 구하는 해법을 찾아냈다. 구체적으로 물가갭(실질물가상승률-목표물가상승률)과 GDP갭(실질경제성장률-잠재경제성장률)에 각각 가중치를 둬 합산하는 방식이다. 이 원칙은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원칙만큼이나 거시경제학에서는 중요한 법칙이자 철칙으로 자리잡고 있다. 그린스펀 전 Fed 의장은 이 원칙이 만들어진 6년 뒤인 1998년부터 금리 결정에 이 원칙을 활용했고 대부분 중앙은행은 이 테일러 준칙에 따라 통화정책을 운영해왔다.
테일러 교수는 시장중심 원칙주의자며 포퓰리즘을 거부하는 학자로도 유명하다. 통화정책이 정치권 변덕에 따라 흔들리는 것을 가장 혐오하면서 통화정책을 결정할 때 일정한 준칙을 만들고 이를 의회에 제출해 지키도록 한다는 원칙을 제안했던 것이다. 준칙을 어기면 벌칙도 있어야 한다는 주장이다. 그는 무엇보다 미 정부와 Fed의 간섭주의적 재정 통화정책 때문에 경기회복이 더 느려졌다고 개탄한다.
LG경제연구원이나 현대경제연구원 등 민간 경제연구소들이 테일러 준칙을 활용해 국내 적정금리를 추정한데 따르면 한국의 적정금리는 연 1.76%대(현대)여서 아직 인하여력이 있다고 한다. 한국은행은 지난달에야 겨우 금리를 소폭 인하해 현재 연 2.25%다. 한국은행이 테일러 준칙을 활용하는지도 궁금하다.
[한경+ 구독신청] [기사구매] [모바일앱]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국경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