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상 100만원…총상금 820만원
![](http://www.hankyung.com/photo/201409/2014091928241_AA.9079819.1.jpg)
한국경제신문이 신문을 활용한 경제교육 활성화를 위해 개최하는 ‘한경 생글 NIE 경진대회’ 출품작 접수 마감이 이달 말로 다가왔다. 한국언론진흥재단 후원으로 열리는 이번 대회는 초·중·고·대학생들이 신문과 친숙해져 올바른 경제지력을 갖출 수 있도록 도와주기 위한 것으로 △경제신문·시사경제 스크랩 △경제신문 만들기 △NIE 경제과목 우수 지도안 등 3개 분야로 나눠 진행된다.
![](http://www.hankyung.com/photo/201409/2014091928241_AA.9079775.1.jpg)
대상 1명(팀)에겐 상장과 상패, 상금 100만원이 주어지며 최우수상 1명(팀)에겐 상장과 상패, 상금 50만원이 수여된다. 우수상 3명(팀)에겐 각 상장, 상패, 상금(30만원)이, 장려상 7명에겐 각 상장과 상금(20만원)이 주어진다.
‘경제신문 만들기’는 초·중학생, 고등학생, 대학생 개인과 동아리가 참여할 수 있다. 학교 학급에서 만든 신문도 출품 가능하다. 올해 만든 신문 3편 이상을 출품하면 된다. 대상 1명(팀)에겐 상장과 상패, 상금 100만원이, 최우수상 1명(팀)에겐 상장과 상패, 상금 50만원이 수여된다. 우수상 2명(팀)에겐 각 상장과 상패, 상금 30만원이, 장려상 3명(팀)에겐 각 상장과 상금 20만원이 주어진다.
‘NIE 경제과목 우수 지도안’은 초·중등 교사와 고등학교 교사가 참여할 수 있다. 주제는 자유이며 3~5차 시 수업 지도안을 제출하고 학생들과 수업했던 결과물을 예시로 첨부하면 된다. 대상 1명에겐 상장과 상패, 상금 50만원이, 최우수상 2명에겐 각 상장과 상패, 상금 30만원이 시상된다. 우수상 3명에겐 각 상장과 상패, 상금 20만원이 주어진다.
![](http://www.hankyung.com/photo/201409/2014091928241_AA.9095062.1.jpg)
접수는 우편이나 이메일(nie@hankyung.com)로 받으며 마감은 9월30일이다. 메일이나 우편에 꼭 학교, 주소, 연락처, 전화번호를 기재해야 한다. 시상식은 10월 중순 한국경제신문사에서 열린다. 우편 접수는 ‘서울시 중구 청파로 463 한국경제신문사 3층 경제교육연구소(우편번호 100-791) NIE 경진대회 담당자 앞’으로 하면 된다. 참가작은 대회가 끝난 뒤 되돌려준다. 문의 (02)360-4054
강현철 한국경제신문 연구위원 hckang@hankyung.com
-------------------------------------------------------------------------
국가공인 경제이해력 검증시험 Junior TESAT 맛보기 www.tesat.or.kr
문제 어떤 상품의 값이 올라서 사회적으로 화제가 되면 그 상품을 구매할 능력이 있음을 과시하기 위해 소비를 늘리는 역설적 현상은?
① 대체효과 ② 실질잔액효과
③ 베블렌 효과 ④콩도르세의 역설
⑤ 세인트 피터스버그의 역설
해설 베블렌 효과는 다른 사람에게 보여주기 위해 높은 가격을 기꺼이 지불하는 일종의 ‘과시적 소비행태’ 를 가리킨다. 주로 사치품 시장에서 자신의 특별함을 소비를 통해 과시하려는 부유층이나 이를 모방하려는 계층에 의해 주도된다. 과시적 소비가 존재할 때 가격이 올라갈수록 수요가 증가하는 우상향의 수요곡선이 생겨난다. 콩도르세의 역설은 투표가 사회적 선호를 정확하게 반영하지 못하는 현상으로 ‘투표의 역설’이라고도 한다. 정답 ③
문제 과자회사가 과자의 가격을 5% 올렸더니 그 제품의 판매량이 2% 감소하였다면 다음 중 옳은 것은?
① 공급의 가격 탄력성이 1이다.
② 공급의 가격 탄력성이 1보다 크다.
③ 공급의 가격 탄력성이 1보다 작다.
④ 수요의 가격 탄력성이 1보다 크다.
⑤ 수요의 가격 탄력성이 1보다 작다.
해설 탄력성(elasticity)은 수요량이나 공급량이 가격이나 소득의 변화에 대해 반응하는 정도를 나타낸다. 가격이 변할 때 수요량이 얼마나 변하는지 나타내면 ‘수요의 가격탄력성’이라고 부른다. 수요의 가격 탄력성은 수요량의 변화율을 가격의 변화율로 나눈 값이다.
가격 변화에 수요량이 민감하게 변하면 수요가 탄력적이라고 하는데 탄력성이 1보다 큰 값을 나타낸다. 이는 가격변화폭보다 수요량의 변화폭이 크다는 얘기다. 반대로 수요량의 변화가 크지 않고 탄력성이 1 보다 작으면 비탄력적이다. 탄력성이 1일 때는 수요량이 가격과 같은 폭으로 변하는데 이 경우를 ‘단위탄력적’이라고 한다.
문제에서 가격 변화율 5% 제품 판매량이 2% 감소하였다면 공급가격 변화로 수요량이 변화하였으므로 수요의 가격 탄력성은 2÷5=0.4 이다. 정답 ⑤
[한경+ 구독신청] [기사구매] [모바일앱]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국경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