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hankyung.com/photo/201410/2014100227931_AA.9141185.1.jpg)
“테샛을 준비하면서 경제학적 시각으로 세상을 어떻게 바라봐야 할지 알 수 있었습니다.”
지난 8월 테샛에서 동아리대항전 대상을 차지한 ‘WIFI’팀의 김영웅 씨 얘기다. ‘WIFI’는 고려대 경제학과 학생들이 모인 동아리로 ‘We are Interested in Financial Issues’의 첫 글자를 모아 만들었다. 우리말로는 ‘우리는 금융 이슈에 관심이 있다’는 뜻으로 경제 및 금융 관련 주제를 함께 공부하는 모임이다. 동아리원은 김기성 김영웅 박찬명 이지영 한상원 한윤지 씨 등 총 6명으로 모두 취업을 준비하는 4학년생이다.
한상원 씨는 297점(300점 만점)의 높은 점수로 테샛 개인 대상의 영광도 안았다. 박찬명 씨는 “정기 모임은 주 3회였지만 시험이 임박해서는 1주일에 여섯 번씩 모여 기출문제를 풀고 경제이론과 시사이슈도 토론했다”고 전했다. 김영웅 씨는 “경제학도로서 꾸준히 경제를 공부해왔지만 그동안 쌓아온 지식이 과연 실생활에 어떻게 도움될 수 있을까가 늘 궁금했다. 그런데 테샛을 치르면서 경제학적 시각으로 세상을 어떻게 바라봐야 할지 알 수 있었다”고 밝혔다.
경제학 전공 수업을 들으면서 경제이론을 다졌고, 테샛 홈페이지의 기출문제도 꾸준히 풀면서 실전감각을 익혔다. 한상원 씨는 “다양한 경제학 교과서를 반복해서 읽고 개념을 체계적으로 정리하는 방법으로 경제이론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도를 높였다”며 고득점 비결을 귀띔했다.
시사 영역의 경우 평소 경제신문을 구독하면서 경제기사를 스크랩했다. 한윤지 씨의 시사이슈 정리가 큰 도움이 됐다. 그는 경제연구소의 각종 보고서, 한국은행의 해외 경제 포커스, 금융통화위원회의 기준금리 결정 의사록 등도 꼼꼼히 읽고 정리했다고 전했다. 김기성 씨는 “시사는 범위가 너무 넓어 준비할 때 막막했다. 동아리원인 윤지가 시사 자료를 잘 정리해 공유한 덕분에 한결 공부하기 수월했다”고 말했다.
이지영 씨는 “경제학 이론과 현실 사이에는 간극이 있었다. 하지만 테샛을 준비하면서 시사이슈와 함께 집중력 있게 공부하니 이런 간극을 좁힐 수 있었다”며 “취업을 준비하고 있는데 각종 공공기관 및 기업에서 테샛 점수를 활용할 수 있는 이점도 있어서 큰 도움이 될 것 같다”고 강조했다.
WIFI팀은 테샛 동아리 대상이 ‘격려상’ 같다고 말했다. 팀원들은 “사회 진출을 앞둔 취업 준비생으로서 불확실한 진로에 걱정되고 불안하기도 했다”며 “그동안 수고했고 앞으로도 열심히 하라는 큰 격려를 받은 느낌”이라고 덧붙였다. 김기성 씨는 “경제인을 꿈꾸는 고교생들에게 망설이지 말고 테샛에 응시하라고 말하고 싶다. 테샛은 훌륭한 동기 부여가 될 것”이라며 테샛을 추천했다.
손정희 한국경제신문 연구원 jhson@hankyung.com
-------------------------------------------------------------------------
국가공인 경제이해력 검증시험 Junior TESAT 맛보기 www.tesat.or.kr
문제 다음 중 원·달러 환율이 하락할수록 가장 크게 이익을 볼 수 있는 옵션 거래는?
(1) 달러 콜옵션 매도
(2) 달러 콜옵션 매수
(3) 달러 풋옵션 매도
(4) 달러 풋옵션 매수
(5) 달러 콜옵션과 풋옵션 동시 매도
해설 옵션은 이자율 환율 주가 등의 변동 위험을 헤지하기 위한 파생금융상품이다. 옵션 매입자에게 일정 기간에 정해진 가격에 사거나 팔 수 있는 선택권을 부여한 계약이다. 달러 콜옵션은 달러를 특정 가격에 살 수 있는 권리로 향후 달러 가치 상승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 구입한다. 달러 풋옵션은 달러를 특정 가격에 팔 수 있는 권리이므로 수출업체와 같이 달러 가치 하락의 위험을 없애기 위해 매입한다. 원·달러 환율이 하락해 달러 가치가 낮아지면 달러 풋옵션을 매수한 사람이 이익을 보게 된다. 달러 풋옵션 매도자는 팔아야 하는 의무를 지는 대신 매수자에게서 그 대가로 옵션가격, 즉 프리미엄을 받는다. 정답 (4)
문제 다음 글이 가리키는 금융 용어는?
인터넷이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통해 불특정 다수로부터 투자자금을 모으는 것을 말한다. 원래는 문화·예술 프로젝트 후원자 모집이나 재난구호 사업에 필요한 돈을 모을 때 쓰던 용어다. 청년들의 창업을 돕기 위한 것이다.
(1) 사모펀드 (2) 커버드 본드(3) 크라우드 펀딩 (4) 시스템 트레이딩 (5) 프로젝트 파이낸싱
해설 크라우드 펀딩(crowd funding)은 ‘대중으로부터 자금을 모은다’는 뜻이다. 자금이 없는 예술가나 사회활동가, 창업자 등이 아이디어나 프로젝트를 인터넷에 공개하고 익명의 다수로부터 투자를 받아 자금을 마련하는 것이다. 목표액과 모금 기간이 정해져 있는 게 일반적이며 투자자 입장에서는 수만~수십만원의 적은 금액을 투자할 수 있어 큰 부담이 없다. 커버드 본드는 주택담보대출, 국·공채 등 우량자산을 담보로 발행하는 채권으로 금융회사들이 장기 자금 조달수단으로 많이 이용한다. 정답 (3)
[한경+ 구독신청] [기사구매] [모바일앱]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국경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