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당국자는 9일 "앞으로 남북 간 논의가 진전되면 구체적 얘기를 다 할 수 없으니 현안별로는 실무자들이 따로 만나서 얘기를 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이달 말에서 다음달 초에 열릴 2차 고위급 접촉에서는 일단 포괄적 차원에서 남북이 서로 제기하는 현안을 두루 짚어본 뒤 구체적 해법은 분야별 후속회담에서 논의를 이어가는 방안을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2차까지 이어지게 된 고위급 접촉 채널은 지난 2월 북한 국방위원회의 제안을 우리측이 수용하면서 처음 도입된 것이다.
1차 접촉 때 우리측에서는 김규현 청와대 국가안보실 1차장이 수석대표로 나섰고, 북측에서는 원동연 통일전선부 제1부부장이 '국방위원회 대표단' 단장 자격으로 나왔다.
고위급 접촉은 과거 우리 통일부와 북한 통전부로 이어지는 이른바 '통-통 라인' 대신 청와대와 북한 국방위원회라는 양측의 최고 권력기구 간의 직접 소통에 더욱 가까운 형태라는 점에서 주목받았다.
하지만 경제·환경 분야 협력, 군사적 적대관계 해소, 이산가족 등 인도적 문제 해결, 사회·문화교류 확대 등 산적한 남북 간 현안의 구체적 해법을 논의하기에는 기존의 고위급 접촉 대화 틀이 제한적 역할을 할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다.
한편 우리측에서 통일부 장관이 회담 대표로 나서는 과거의 남북 장관급 회담 을 재가동시켜 수석대표의 격을 한 단계 올리는 방안도 일각에서 거론되고 있다. 과거 남북은 장관급 회담을 주된 당국 간 협의체로 두고 큰 틀의 협력 방안을 모색하면서 분야별 협의체를 운영한 바 있다.
류길재 통일부 장관도 8일 외교통일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이것(고위급 접촉)은 남북관계의 돌파구라 할까, 막힌 국면을 뚫는 데 목적이 있는 접촉·회담이기 때문에 이것이 이뤄지고 나면 본격 협상 국면에서는 통일부가 전면에 나서서 해야 할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다만 지난해 개성공단 재가동 협상 과정에서 남북이 장관급 회담을 개최하기로 합의했다가 수석대표의 '격'을 놓고 회담이 무산됐던 전례가 있어 향후 장관급 대화 복원은 민감한 문제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당시 우리측은 통일부 장관의 상대가 북한의 김양건 통일전선부장이 되어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했지만 북측은 과거 남북관계의 전례대로 대남기구인 조국평화통일위원회 고위 간부가 '내각 참사' 자격으로 나갈 것이라고 고집했다.
한경닷컴 뉴스룸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
[한경+ 구독신청] [기사구매] [모바일앱]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