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starnews.hankyung.com/wstardata/images/photo/201410/eeb073b818a34118b325446929327a11.jpg)
[최송희 기자] 여신이라는 말이 싫다고 했다.
말하는 동안에도 몇 번이나 몸을 비틀면서 온 몸으로 ‘오그라듦’을 표현했다. “가장 부끄러운 수식어”이자 “가장 못 참겠는 기사 제목”이라는데. 짓궂게도 다시 한 번, 그를 여신이라 불러보았다.
최근 영화 ‘나의 사랑 나의 신부’(감독 임찬상) 개봉 전, 한경닷컴 w스타뉴스와 만난 신민아는 이제까지의 ‘비일상적’인 얼굴을 벗고, 가장 가까운 인물로 관객에게 다가가고자 했다.
“여신이라는 말이 좀…. (웃음) 작품보다는 광고나 화보가 부각 되다 보니까 그런 것 같아요. 그래서 ‘나의 사랑 나의 신부’ 속 미영처럼, 현실적인 캐릭터에 대한 목마름이 있었던 것 같아요. 기회가 적었죠. 그게 제 뜻대로 되는 건 아닌 것 같아요.”
‘아랑사또전’을 비롯해 ‘내 여자친구는 구미호’도 그랬지만, 최근 상영한 ‘경주’에서도 신비롭고 먼 인물을 연기했다. 항상 그가 만들어낸 인물들은 멀리, 숨결이 느껴지지 않았는데 이번 ‘나의 사랑 나의 신부’는 달랐다. 보통 여자의 고민, 보통 여자의 감정을 고스란히 안고 있었다. 신민아에게 발견하는 ‘일상적’인 모습이라니. 어쩐지 조금 낯설기도 했다.
“현실에 있을 법한 여자를 연기하는 게 처음은 아니지만 드물었던 건 사실이죠. 하지만 비현실적인 인물을 연기하는 것도 그 나름 재미가 있었어요. 현실적인 캐릭터를 연기하고 싶어진 건, 30대가 되어서라기보다는 예전부터 목마름이 있던 것 같아요. 이번에야 말로 시기적으로나 기회가 온 것 같아요.”
![](http://wstarnews.hankyung.com/wstardata/images/photo/201410/12f32acc594df46fad8666db0c60c6c5.jpg)
연기적인 목마름. “배우들은 다 있을 것”이라는 그 연기에 대한 갈증은 “너무 어릴 적부터 시작한 일”에 대한 부담이자, 권태로 느껴질 수도 있었다. 하지만 30대로 접어든 그는 “행복해야겠다, 즐겨야겠다는 마음”으로 “친구처럼” 지내기로 했다.
“20대 때는 연기에 대한 부담 컸어요. 그런데 지금은 어떻게 보면 남편 같기도 하고…. (웃음) 연기라는 걸, 친구처럼 함께 오래 가야겠다고 생각하게 됐죠.”
조금 더 가뿐해졌다. 연기에 대해서도, 스스로에 대해서도 주저하는 기색이 없었다. 이제야 ‘부담감’을 떨쳐냈다는 그에게는 확실히 다른 기운이 있었다. 마치 ‘나의 사랑 나의 신부’가 하나의 신호탄이 된 것처럼.
“제가 출연한다니까 기대치가 없었나 봐요. 주위에서 ‘잘했다’는 칭찬을 많이 해주셔서 몸 둘 바를 모르고 있죠. 망가져야겠다고 계획한 적은 없었어요. 하지만 원작이 있는 영화이기에 부담이 있었죠. 좀 더 새로워야 하고, 더 재미있어야 한다는 욕심도 있었고요.”
일부 관객에게 신민아의 미영은 꽤 당혹스러운 인물일지도 모르겠다. 여신 신민아가 짜장면에 코를 박고, 불안한 목소리로 노래를 하는 모습은 그가 망가졌다고 해도 무방할 정도다. 하지만 “재미 요소들을 표현하는 과정”에서 드러난 신민아의 얼굴은 당혹스러울지언정, 한층 더 배우에 가까워진 인상이었다.
![](http://wstarnews.hankyung.com/wstardata/images/photo/201410/994df76adf4ef452e4fb981aefcd4385.jpg)
신민아를 대한민국 보통의 여자로 만든 것은 조정석만의 영민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개그 코드가 유달리 잘 맞았다는 두 사람은 영화의 빈틈을 서로의 색깔로 채워 넣었고, 많은 이들의 공감과 부러움을 사기도 했다.
“촬영하면서 정말 재밌었어요. 정석 오빠랑 개그코드가 비슷했거든요. 신혼 스케치 장면들은 거의 다 애드리브였어요. 극 중 오빠가 바지를 내리는 신이 있는데, 그 아이디어는 제가 낸 거예요. 보통 그런 제안을 했을 때 상대 배우가 기분 나빠할 수도 있는데 오빠는 재밌겠다고 호응해주니까요. 그런 부분들, 코드가 잘 맞았던 것 같아요.”
공감. 그것은 ‘나의 사랑 나의 신부’의 가장 강력한 힘이다. 상대 배우를 향한 공감, 그리고 역할에 대한 공감은 스크린 너머의 관객들에게까지 고스란히 전달됐다. 그에게 “가장 공감하는 장면이 무엇인지” 묻자, 신민아는 “화장실에서 이야기하는 것”을 꼽았다.
“제가 결혼한 건 아니지만, 시나리오를 보고 그 부분에 대한 공감이 되더라고요. 제가 이 부분을 어떻게 공감할 수 있을까 싶었는데…. 여자는 조금씩 나이가 들면서 자기가 여자인 것을 잃어한다는 생각을 한 번쯤은 해보잖아요. 그게 결혼하고, 사랑하는 사람이 나를 그렇게 대하면 더더욱. 그래서 더 공감하고 아팠던 것 같아요.”
![](http://wstarnews.hankyung.com/wstardata/images/photo/201410/5f834b18240999a6577498a45626b8e6.jpg)
이명세 감독이 연출하고 박중훈, 故최진실이 주연을 맡은 ‘나의 사랑 나의 신부’와는 달리 신민아 조정석의 ‘나의 사랑 나의 신부’는 서로의 꿈을 접어놓은 채, 맞벌이를 하는 부부로 등장한다. 이것은 요즘 세태를 선명하게 그리면서도, 원작과는 다른 리듬을 갖는 것에 큰 기여를 하는 부분이다.
“극 중 미영은 남편 내조도 해야 하고, 돈을 벌어야 하는 입장이죠. 미술을 전공했지만 더 이상 자기 작품을 그리지 않고, 학원 선생님이 되는 미영이를 보면서 아마 많은 분들이 공감하지 않을까 싶어요. 시대가 변한 만큼, 맞벌이 부부들도 많고요. 원작이랑 다르면서도 요즘 시대에 맞게 잘 각색된 것 같아요.”
극 중 미영은 미술을 전공했지만, 현실에 타협하며 미술학원에 머무른다. 그는 “계속 그림을 그리고 있다고 생각했는데 아니었다”고 한탄하고, 그의 말은 많은 관객들에게 공감과 여운을 남겼다. 그렇다면 현실 속 신민아는 어떨까. 그가 생각하는 ‘배우의 고민’을 가장 이상적으로 실현한 배우는 누구인지 물었다.
“전도연 선배나, 전지현 씨가 그런 것 같아요. 예전에는 결혼하면 가사 일에 전념한다는 느낌이었는데 두 분은 결혼도, 일도 모두 잘해내고 계시잖아요? 결혼이 그게 다가 아니라고 생각하곤 있지만, 부럽기도 하고 대단하다는 생각이 들기도 해요.”
한경닷컴 w스타뉴스 기사제보 news@wstarnews.com
▶ ‘1박2일’ 김종도 “故김무생, 김주혁 친동생처럼 보살피라더라” 뭉클
▶ [TV는 리뷰를 싣고] ‘나쁜 녀석들’ 범죄와의 전쟁, 시작부터 삐거덕
▶ ‘무한도전’ 방송사고, 제작진 “후반작업 욕심 내다가…” 공식사과
▶ [w결정적한방] 차승원 ‘친부소송’ 고백부터 SM ‘배후세력’ 발언까지…
▶ ‘풀하우스’ 박보람, 30kg 감량 외모 변천사에…“수술 받은 거 아니냐”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