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접투자 비중 크게 줄어
[ 워싱턴=장진모 기자 ] 미국의 개인투자자들이 주식시장을 떠나고 있다. 2008년 금융위기의 ‘트라우마(정신적 충격)’가 아직 치유되지 않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http://www.hankyung.com/photo/201410/2014102807391_AA.9226071.1.jpg)
프랭크 스태퍼드 미시간대 경제학과 교수는 “금융위기 이후 실업 등으로 소득과 자산이 줄어든 개인들이 주식투자에 대한 자신감을 잃어버린 것 같다”며 “이들이 단기간 내에 주식시장으로 돌아올 가능성이 낮다”고 진단했다.
Fed에 따르면 미국에서 주식을 직·간접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가계 비중은 2007년 53.2%에서 2013년 48.8%로 감소했다. 하지만 소득 상위 10% 계층은 그 비율이 90%에서 93%로 늘어났다. 지난 5년간 지속된 주가 상승에 따른 ‘부의 효과’가 고소득자에 집중됐다는 뜻이다. 실제로 2013년 기준 소득 상위 3%가 미국 전체 부의 54%를 차지하고 있다. 1989년의 45%보다 훨씬 높아졌다. 반면 같은 기간 하위 90%가 차지하는 부의 비중은 33%에서 25%로 감소했다.
워싱턴=장진모 특파원 jang@hankyung.com
[한경+ 구독신청] [기사구매] [모바일앱]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국경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