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CB 자산 1조유로 늘릴 것"
드라기 발언에 유로화 약세
[ 김은정 기자 ]
유로존(유로화 사용 18개국) 경기 침체에 대한 우려가 가시지 않고 있지만 ECB는 기준금리를 비롯한 주요 정책금리를 모두 동결했다. 하지만 필요하다면 전면적인 양적 완화에 나설 수 있다고 시사했다.
ECB는 독일 프랑크푸르트에서 6일 정례 통화정책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사상 최저인 연 0.05%로 유지한다고 발표했다. 시중은행이 ECB에 맡기는 초단기 예금에 적용되는 예금금리와 한계대출금리도 각각 연 -0.20%와 0.30%로 동결했다.
이번 금리 결정은 블룸버그통신이 집계한 전문가들의 예상에 부합한 결과다. 전문가들은 ECB가 2개월 전 기준금리를 사상 최저로 끌어내렸기 때문에 이른 시일 내 금리 조정이 없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날 회의에서 ECB는 회사채나 국채 매입 계획을 발표하지 않았다. 하지만 경기 부양 의지는 확인했다. 드라기 총재는 회의 후 연 기자회견에서 “지나치게 장기화하는 낮은 물가상승률을 타개하기 위해 필요하다면 양적 완화로 불리는 비전통적인 통화정책을 추가로 내놓을 수 있다는 데 정책위원들이 만장일치로 찬성했다”고 말했다. ECB 자산 규모는 2012년 3월 수준으로 확대할 것이라고 구체적인 계획도 밝혔다. 이는 현재보다 1조유로(약 1357조700억원) 더 많은 것이다.
ECB는 유로존의 경기침체와 디플레이션(장기 물가 하락)을 막기 위해 올 들어 두 차례 시중 유동성 공급을 늘리는 조치를 발표했다. 지난 6월엔 저리의 장기대출프로그램(TLTRO) 시행을 발표했고, 9월엔 기준금리를 사상 최저인 연 0.05%로 0.1%포인트 낮추면서 자산유동화증권(ABS)과 커버드본드(금융회사가 보유한 우량 자산을 담보로 발행한 채권) 매입 계획을 밝혔다.
하지만 시장에서는 유로존의 경제 지표와 미국의 양적 완화 종료, 일본의 추가 경기 부양 조치 등을 감안했을 때 전면적인 양적 완화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많았다. 드라기 총재는 이어 “유로존 물가상승률이 내년부터 오르겠지만 앞으로 몇 개월 안에는 지금 상태에 머물 것”이라고 말했다.
유로존의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전년 동기 대비 0.4% 오르는 데 그쳐 ECB의 목표인 2%를 크게 밑돌고 있다. 지난 4일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는 유로존의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종전 1.2%에서 0.8%로, 내년 성장률 전망치는 1.7%에서 1.1%로 하향 조정했다.
ECB의 추가 경기 부양 조치에 대한 기대로 이날 유럽 주요 증시는 상승세를 나타냈고, 유로화는 약세를 보였다. 발렌틴 마리노프 씨티그룹 투자전략가는 “ECB가 좀 더 많은 조치를 단행할 수 있다는 것을 드라기 총재가 명확하게 한 것”이라며 “이 때문에 유로화 가치가 떨어졌다”고 설명했다.
김은정 기자 kej@hankyung.com
[한경+ 구독신청] [기사구매] [모바일앱]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국경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