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계- 국어B 성적 우수한 수험생이 정시에서 절대적으로 유리
자연계- 국영수 모두 쉽게 출제돼 과탐 성적이 합격의 관건될 듯
● 상위권- 탐구영역 환산점수, 동점자 처리기준까지 꼼꼼히 살펴야
![](http://www.hankyung.com/photo/201412/2014120222697_02.6922197.1.jpg)
이와 함께, 인문계열 상위권 대학들의 경우 국어, 수학, 영어영역은 표준점수를 활용하여 선발하고 반영비율도 비슷하기 때문에 탐구영역 환산점수 및 각 영역별 반영비율에 따른 유·불리가 당락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자연계열은 고려대, 연세대, 성균관대 등에서 과학탐구영역을 30% 반영하는 등 탐구영역 반영비율이 상당히 높은 편이다. 따라서 자연계열 상위권 수험생들의 경우, 탐구영역 과목별 백분위 성적 기준 고득점 여부가 합격의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 자연계열 수험생들은 대학별로 영역별 반영비율을 잘 살펴 본인의 유불리를 확인하고 지원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 중하위권- 각 영역별 반영 비중 및 가산점 꼼꼼히 확인해야
중위권 대학의 인문계열은 국어와 영어, 자연계열은 수학과 영어 영역에 높은 비중을 두고 선발하는 대학이 많다. 또, B형 선택 시 가산점을 부여하는 대학도 많아, 인문계열은 국어B형, 자연계열은 수학B형 또는 과탐을 선택할 때 대부분 5~15%의 가산점이 부여된다.
이처럼 중위권 대학은 대학별로 영역별 반영 비중, 반영 과목, 가산점 등이 다양하게 반영되므로 자신의 수능 등급컷이 잘 나온 영역 위주로 선택을 해서 지원 전략을 수립해야 합격의 확률을 높일 수 있다. 다만 이렇게 특이한 반영 방식으로 선발하는 대학은 경쟁률이 상당히 높을 수 있으므로 원서 접수 전까지 경쟁률 변화의 추이를 살펴보는 것이 중요하다.
한경닷컴 뉴스팀 newsinfo@hankyung.com
[한경+ 구독신청] [기사구매] [모바일앱]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