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당성 조사 단독 시행"
vs
홍준표 지사
"외자유치는 잘못된 발상"
![](http://www.hankyung.com/photo/201412/2014121875811_AA.9409444.1.jpg)
서병수 부산시장이 최근 동남권 신공항 건설과 관련해 “정부의 입지 타당성 조사와 관계없이 부산시는 가덕도 신공항 민간투자사업 타당성 조사 용역을 단독으로 시행하겠다”고 밝혔다. 서 시장은 “민자 용역은 가덕도 신공항이 왜 필요한지를 뒷받침하는 이론적 근거를 제시해줄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부산발전연구원도 신공항 민자 용역에 사실상 착수한 것으로 확인됐다. 조성제 부산상공회의소 회장은 “김해공항이 1000만명 이용객 시대를 맞이하는 등 확장이 시급한 상황”이라며 “공공정책과 민간투자를 함께 고려해야 할 때”라고 말했다. 최치국 부산발전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부산의 관광 및 마이스(MICE)산업 발전으로 464만명에 불과한 김해공항 국제선 수용 능력은 내년이면 한계에 달할 전망이어서 신공항 건설에 속도를 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http://www.hankyung.com/photo/201412/2014121875811_AA.9409477.1.jpg)
이에 대해 대구·경북은 “부산시가 판을 깨려고 한다”며 반발해 갈등은 심화할 것으로 보인다. 남부권 신공항 입지타당성조사 용역의 연내 발주가 무산될 위기에 처한 가운데 대구지역 야권이 신공항 조기 건설에 들어갔다. 새정치민주연합 대구시당은 남부권신공항범시도민추진위원회와 공동으로 최근 대구경북디자인센터에서 ‘대구 경제 신성장 동력 남부권 신공항 시민 토론회’를 여는 등 대책 마련에 나서고 있다.
새정치연합 대구시당 관계자는 “최근 서 시장이 민자 유치를 통해 공항을 건설할 수 있다는 의견을 밝히면서 남부권 신공항 유치를 위한 노력이 또다시 물거품이 되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며 “남부권 신공항은 수도권 집중 현상에 맞서 지역 균형발전을 꾀하고 남부권 전체 상생의 차원에서 접근해야 한다”고 말했다.
부산=김태현/대구=김덕용/창원=강종효 기자 hyun@hankyung.com
[한경+ 구독신청] [기사구매] [모바일앱]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국경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